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수면박탈이 정상인의 불안, 기분, 졸리움 및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

영문명
The Effects of Total Sleep Deprivation on Anxiety, Mood, Sleepiness and Fatigue
발행기관
대한수면의학회
저자명
이헌정(Heon-Jeong Lee) 김린(Leen Kim) 조숙행(Sook-Haeng Joe) 서광윤(Kwang-Yoon Suh)
간행물 정보
『수면정신생리』제6권 제1호, 76~84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 저자들은 40시간의 전수면박탈을 시행하여 수면 박탈이 정상인의 불안, 기분, 졸리움, 피로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평가하고, 동시에 개인의 평소의 불안 성향이 수면박탈에 의한 상태불안, 기분, 졸리움, 피로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대학생 중 정신적, 신체적으로 건강하며 수면각성주기에 이상이 없는 자원자 29명(남:여=22:7, 평균 연령24.59±1.35)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험자들은 전날 충분한 수면을 취한 후 기상하였으며 이후 다음날 오후 10시까지 총 40시간동안 수면박탈을 시행하였다. 상태-특성불안척도, 일반기분척도, 스텐포드 졸리움 척도, 피로도 설문을 3시간 간격으로 시행하였으며 이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였고, 또한 피험자의 평소 불안성향에 따라서 상태불안, 기분, 졸리움, 피로도의 변화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결 과 : 수면박탈에 따라서 상태불안은 증가하며, 기분은 부정적이 되며, 졸리움과 피로도가 증가하였다(p<.001). 특성불안이 높은 군과 낮은 군을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상태 불안은 특성불안이 높은 군과 낮은 군간에 차이가 있었으나(p<.05) 상태불안의 증가 양상의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었다. 기분은 특성불안이 높은 군과 낮은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p>.05) 기분의 변화의 양상과 특성불안사이에는 교호작용이 있어(p<.05), 특성불안이 높은 군에서 수면박탈에 따라서 기분의 악화가 심하였다. 또한 수면박탈에 의한 상태불안, 부정적 정서, 졸리움, 피로도의 변화는 새벽 4시에서 아침 7시 사이에 심한 악화를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수면박탈이 졸리움을 유발하고, 부정적인 기분과 불안감 및 피로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개인적 특성으로서의 특성불안의 수준에 따라 수면박탈에 의한 일반적 기분상태의 악화가 보여진다. 또한 수면박탈에 의한 상태불안, 부정적 정서, 졸리움, 피로도의 변화는 일주기 리듬의 영향으로 새벽에 심한 악화를 보여 실제생활에서 주의를 요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sleep deprivation results in reduced vigilance and increased negative affects such as tension, depression and anger.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about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40 hour sleep deprivation on state anxiety, affects, sleepiness and fatigue. The authors also intended to study the effect of trait-anxiety on these psychological variables after sleep deprivation. Methods: Twenty nine subjects(22 men, 7 women, 24.59±1.35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had no past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physical illnesses, and had normal sleep-waking cycle without current sleep disturbances. All of the subjects completed sleep dairy for two weeks to exclude some who suffered from chronic sleep deprivation or sleep disturbances. Subjects were instructed to get a normal sleep as usual at night before the study. After awakening, subjects remained awake for 40 hours under continuous surveillance. They complete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Index of General Affect, Stanford Sleepiness Scale and Fatigue Questionnaire every three hours, therefore they completed the scales 14 times totally. Subjects were dictated not to take caffeine, alcohol, or any medications on the day of the study. Heavy exercises and naps were restricted too. Results: Sleep deprivation resulted in increased state anxiety, negative general affects, and increased sleepiness and fatigue(p<.001). Dividing into high trait-anxiety group and low trait-anxiety group, there was significant sleep deprivation x traitanxiety interaction effect on general affect(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leep deprivation x trait-anxiety interaction effect on state-anxiety, sleepiness and fatigue. During sleep deprivation, the highest ratings of scales on anxiety, negative affect, sleepiness and fatigue occurred between 4 : 00AM and 7 : 00AM.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sleep deprivation results in increased anxiety, mood state disturbance and increment of sleepiness and fatigue. Thes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rait-anxiety is a factor that influences the degree of worsening in general affect caused by sleep deprivation. During sleep deprivation, the rating curves of anxiety, affect, sleepiness and fatigue show rhythmicity that may be related to circadian rhythm.

목차

연 구 목 적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헌정(Heon-Jeong Lee),김린(Leen Kim),조숙행(Sook-Haeng Joe),서광윤(Kwang-Yoon Suh). (1999).전수면박탈이 정상인의 불안, 기분, 졸리움 및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수면정신생리, 6 (1), 76-84

MLA

이헌정(Heon-Jeong Lee),김린(Leen Kim),조숙행(Sook-Haeng Joe),서광윤(Kwang-Yoon Suh). "전수면박탈이 정상인의 불안, 기분, 졸리움 및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수면정신생리, 6.1(1999): 76-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