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와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의 임상적 특성 및 수면 다원검사 소견 비교

이용수 15

영문명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olysomnographic Features between Manifest and Latent REM Sleep Behavior Disorders
발행기관
대한수면의학회
저자명
김석주(Seog Ju Kim) 이유진(Yu-Jin Lee) 김의중(Eui-Joong Kim) 정도언(Do-Un Jeong)
간행물 정보
『수면정신생리』제11권 제1호, 37~43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 경 : 본 연구에서는 수면다원검사상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을 보이는 환자 중 수면 중 이상행동을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6년 6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수면다원검사실에 의뢰된 환자들 중, 야간 수면다원검사 시행결과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이 관찰된 5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수면다원검사 상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이 관찰되며 수면 중 이상행동을 호소하는 32명을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 군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은 관찰되나 수면 중 이상행동은 호소하지 않는 20명을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 군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총 연구대상 52명 중 42명이 남성이었으며 10명이 여성이었다. 평균연령은 55.1±19.1세였다. 연령은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군(61.59±13.5세)에서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군(44.70±2.76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야간 수면다원검사 중 관찰된 수면 중 이상행동은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군(50.0%)에 비해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군(81.3%)에서 더욱 흔하게 관찰되었다. 두 군 사이에 남녀비, 병발질환의 빈도, 그리고 수면 변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본 연구는 수면 중 이상행동의 호소를 하지 않아도 수면다원검사 소견만으로 렘수면 행동장애의 조기 징후를 찾아낼 가능성을 시사한다. 야간 수면다원검사 상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가 증가하는 소견이 나오면 렘수면 행동장애로 진행하는 지 여부와 갑자기 나타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임상적 관심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ossible differences in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ubjective complaints of abnormal sleep behavior, in patients with RWA on polysomnography. Method: We reviewed patient records and polysomnographic data of patients referred to the Sleep Laborato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96 through October 2002. We defined the manifest RBD group (n=32) as patients having both complaints of abnormal sleep behavior and RWA on polysomnography. The latent RBD group (n=20) consisted of patients who exhibited RWA on polysomnography but did not complain of abnormal sleep behavior.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Fifty-two subjects had RWA, as detected by polysomnography (42 males and 10 females, mean age of 55.1±19.1 years). Subjects in the manifest RBD group were significantly older than those in the latent RBD group (61.59±13.5 vs. 44.70±2.76 years, independent t-test, p<0.01). More subjects in the manifest RBD group exhibited abnormal REM behavior on polysomnography than did subjects in the latent RBD group (81.3 vs. 50.0%, Fisher’s exact test,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found in the prevalence of brain disorders and primary sleep disorders, gender proportion, and sleep architecture. Conclusion: No difference in sleep architecture was found between the manifest and the latent RBD groups. Only age and the presence of abnormal sleep behavior on polysomnography differentiated the two groups. We suggest that RWA on polysomnography without complaints of abnormal sleep behavior may be early manifestation of manifest RBD. Attention to RWA on polysomnography is necessary to help prevent full-blown RBD from developing.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연 구 결 과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석주(Seog Ju Kim),이유진(Yu-Jin Lee),김의중(Eui-Joong Kim),정도언(Do-Un Jeong). (2004).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와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의 임상적 특성 및 수면 다원검사 소견 비교. 수면정신생리, 11 (1), 37-43

MLA

김석주(Seog Ju Kim),이유진(Yu-Jin Lee),김의중(Eui-Joong Kim),정도언(Do-Un Jeong).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와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의 임상적 특성 및 수면 다원검사 소견 비교." 수면정신생리, 11.1(2004): 37-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