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 단시간근로의 질 분석

이용수 7

영문명
An Analysis on Quality of Part-time Work in People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박자경(Park Ja-Kyung)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26권 제2호, 33~5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의 질 측면에서 장애인 단시간근로를 분석하고 단시간근로가 장애로 인한 제약이나 건강상의 문제로 취업이나 전일제근로가 어려운 장애인에게 유용한 직업적 대안이될 수 있기 위해 필요한 지원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근로의 질을 분석하는 지표는 우선 ILO의괜찮은 일자리 측정지표를 토대로 임금, 고용안정성, 사회보험, 작업환경 안정도, 일의 적합도 지표를 선정하고 여기에 장애인고용 특성을 반영한 공평성(차별)⋅편의제공지표와 직무만족지표를추가하여 구성하였다. 분석자료는 장애인고용패널7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성향점수매칭분석을 이용하여 단시간근로자와 전일제근로자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단시간근로자와 전일제근로자는 시간당 임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고용안정성과 사회보험 가입에서는 단시간근로자가 전일제근로자에 비해 열악한 고용조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의 적합도 지표 중 지식․ 기능 활용도 그리고 직무만족도 중 발전가능성, 교육훈련기회 만족도는 매칭 전에는 두 집단 간차이가 유의미하였으나 매칭 후에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공평성⋅편의제공 지표 중 근로시간 조정에서는 단시간근로자들이 전일제근로자에 비해 근로시간 조정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단시간근로의 질 개선을 위한 양질의 단시간 일자리 확대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rt-time work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aspect of the work quality and to explore a support plan necessary for which the part-time work can become a useful occupational alternativ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difficult for employment or full-time work owing to a restriction caused by disability or to a problem in light of health. An indicator of analyz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was formed by adding the fairness(discrimination)⋅convenience offer index of reflecting a characteristic of employment i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job satisfaction index in addition to this after firstly selecting the indexes of wage, employment stability, social insurance, working-condition stability, and work fitness based on the indicator of measuring decent jobs in ILO. The analytical data were utilized the 7th Panel Survey Data of Employment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time workers and full-time workers were compared by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art-time workers and the full-time workers were no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ourly wage. In the employment stability and the subscription to social insurance, the part-time workers were indicated to be in the poorer employment condition than the full-time workers. Out of the index for work fit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matching between two groups in the knowledge․skill application,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out of job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an opportun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matching between two groups. In the adjustment of working hours out of the fairness⋅convenience offer index, the part-time workers were shown to have more adjustment of working hours compared to the full-time workers. Based on the above analytical results, there was a suggestion of the expansion in part-time job with good qualit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ull-time work.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자경(Park Ja-Kyung). (2016).장애인 단시간근로의 질 분석. 직업재활연구, 26 (2), 33-56

MLA

박자경(Park Ja-Kyung). "장애인 단시간근로의 질 분석." 직업재활연구, 26.2(2016): 33-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