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매체미학연구에서 바라보는 예술교육

이용수 131

영문명
Art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Media aesthetics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김성재(Seong Jae Kim)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권 제2호, 17~3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매체미학, 루만의 체계 이론적 예술 커뮤니케이션 이론 그리고 플루서의 매체이론에 기초해 예술교육의 과제를 다룬다. 우선 매체 미학적 관점에서 볼 때 예술의 매체는 창조된 매체/형식이 맺는 관계들의 자유로움을 허용한다. 예술의 커뮤니케이션관 에서 보는 예술교육은 예술의 창조와 관찰에 필요한 차별기준을 학습하고 훈련시키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예술교육은 예술작품을 관찰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작동하는 맹점, 곧 차별기준의 불완전성을 인정하는 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더 나아가 예술교육은 예술가가 자신을 자신의 작품에서 분리해 관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작품의 관찰 자가 예술작품에서 어떤 것이 보이고 어떤 것이 보이지 않게 남겨져 있는지를 인식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deal with the problems of art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media aesthetics, art communication by Luhmann s system theory and Flusser s media theory. First of all, from the viewpoint of media aesthetics, the media of art permit the freedom of connections which are formed by the created medium/form. The art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art communication has a task to study and to practice the difference standard for creating and observing of art. Also the art education should make an effort to recognize the blind spot, namely the imperfect characteristic of difference standard which operates recursively. Furthermore, the art education should concentrate its efforts to develop the ability which the artist separates himself from his work and contemplates himself, and to study the method to recognize what is seen and what remains as unseen for the observer.

목차

I. 서론
II. 예술의 매체와 형식
III. 매체미학의 개념과 다층성
IV. 매체미학적 관점에서 본 예술의 커뮤니케이션과 예술교육
V. 결론 : 예술의 창조와 관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재(Seong Jae Kim). (2006).매체미학연구에서 바라보는 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연구, 1 (2), 17-32

MLA

김성재(Seong Jae Kim). "매체미학연구에서 바라보는 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연구, 1.2(2006): 17-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