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디어 연구에서의 문화적 역량 : 미디어 능력

이용수 82

영문명
Cultural Competence in the Media Study: Media Competence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김성재(Seong-Jae Kim)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3권 제1호, 31~5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보사회의 도래와 함께 미디어 능력에 대한 연구는 문자 텍스트와 영상을 넘어 네트워크 미디어 내에서 이루어지는 미디어의 상호작용성에 이르기까지 확장된다. 여기서 미디어 능력의 개념은 이제 개인의 생활세계와 직업세계에서 꼭 갖추어야 할 기술적인 미디어 작동 기술뿐만 아니라 개인, 조직, 사회에서 일어나는 모든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속에서 창의력, 자기성찰 그리고 숙련된 미디어 사용 기술을 기초로 다양한 미디어의 내용을 이해하고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포괄한다. 이러한 미디어 능력의 창출 가능성은 미디어 이용자가 자신의 고유한 인지 시나리오를 통해 현실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과 타인의 현실 구성인 미디어 현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 능력은 본질적으로 인지 능력을 의미하기 때문에 ‘능동적인 상상’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인지구성의 고유한 해석 능력과 타인들이 제공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그들과 공존할 수 있는 ‘성찰적인 상상’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오늘날 인터넷 미디어가 주류 미디어로 등장한 정보사회에서 살고 있는 구성원들의 미디어 능력의 소유 여부는 그 사회의 발전․유지 또는 파괴와 직결되기 때문에 이 능력은 핵심적인 문화역량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coming of information society the study of media competence extends over the text and images to the network media and interactivity. Thus, the concept of media competence includes not only skills of media operation for the life- and professional world, but also creativity and self-reflection in the process of all human communications at individual, organization and society, and ability to understand and to create media contents based on the skilled media usage. The possibility of getting this competence depends upon how the media user does his interaction with the media reality of other construction of reality through the ability of his own construction of reality based on his cognition-scenario. The capability, that can be called active imagination , of his own interpret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cognition and reflective imagination in a media environment that is provided by other, play big role to coexist with them, because both imaginations mean significantly the ability of cogni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where the internet media is now dominant, the ownership of media competence should be considered as essential cultural competence,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r destruction of a society.

목차

1. 서론
2. 미디어 능력의 개념과 담론
3. 미디어 능력의 요소
4. 미디어 능력의 창출 가능성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재(Seong-Jae Kim). (2008).미디어 연구에서의 문화적 역량 : 미디어 능력. 문화예술교육연구, 3 (1), 31-51

MLA

김성재(Seong-Jae Kim). "미디어 연구에서의 문화적 역량 : 미디어 능력." 문화예술교육연구, 3.1(2008): 3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