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모바일러닝 집중도 차이에 따른 학습행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265

영문명
A Study on Learning Conduct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Concentration level in University Students’ mobile learning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노혜란(Roh Hye-Lan) 최미나(Choi Mina)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1권 제2호, 231~25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모바일러닝 강좌를 수강한 대학생들의 모바일러닝 집중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행태와 만족도 요인이 무엇인지를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는 충북 소재 대학교의 16개 모바일러닝 강좌를 2018년 1학기에 수강한 1,18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276명의 유효 데이터 중, 모바일러닝 집중도 상위집단(모바일 집중도 자기인식 70~100%, 60명)과 하위집단(모바일 자기인식 0~29%, 62명) 122명을 대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도구는 모바일러닝 학습행태 12개 문항, 자기인식에 기초한 모바일러닝 집중도 1개 문항, 모바일러닝 만족도 10개 문항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러닝 학습행태의 분석결과 집중도 하위집단은 상위집단에 비하여 모바일러닝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 낮았고, 학습시간이 더 짧았으며, 반복학습 횟수가 더 적었고, 모바일기기의 여러 기능 중에서 콘텐츠 수강 기능보다 공지사항 확인기능을 더 활용했으며, 딴 짓이 더 많았고, 주변환경으로부터 방해를 더 받았으며, 자투리시간의 활용을 장점으로 덜 인식하며, 학습중 SNS와 전화 등 방해요소가 많고 틈틈이 공부하지만 맥락이 끊어지는 점을 단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러닝 만족도의 분석결과 집중도 하위집단이 상위집단에 비해 거의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만족도가 낮았으나, ‘콘텐츠의 다양한 기능의 활용’에 대한 항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모바일러닝 집중도 예측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로지스틱 분석 결과 콘텐츠가 학습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분량이라고 생각할수록, 모바일러닝 한주차별 학습시간이 적을수록, 모바일러닝 반복학습 횟수가 적을수록, 모바일러닝 수강 시 주변환경으로 인해 방해를 받을수록, 모바일콘텐츠에서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고 있다고 생각할수록 모바일러닝 집중도가 낮아질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redictive factors of the learning conduct and satisfaction affecting the concentration level of mobile learning in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181 students who took 16 mobile learning courses in S university, on the first semester of 2018. The total numbers of subjects were 122 mobile learners who were classified into the lower group in concentration(mobile concentration self-awareness 0~29%, 62 persons) and the upper group(mobile concentration self-awareness 70~100%, 60 persons) among the 276 valid data. The research tool consisted of 12 items of mobile learning conduct, 1 item of a concentration level of mobile learning based on self-awareness, and 10 items of mobile learning satisfaction.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mobile learning conducts showed several findings. The lower concentration group had less recognition that mobile learning could be helpful with their learning time less, and less repeated learning. They used more frequently function of a notice board than one of taking learning in their mobile devices, more likely to be disturb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y had many of distractions, such as a cell-phone and SNS, during their learning and noticed being interrupted as a drawback of mobile learn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of mobile learning, satisfactions of the lower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upper group in all items, except for the item of ‘use of various functions of contents’. Second, logistic analysis to confirm predictive factors of mobile learning concentration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lowering the concentration of mobile learning was, the more they think was inappropriate content’s volume for learning, the less was a learning time of mobile learning a week, the fewer was repeated mobile learning, the more likely mobile learning was to be interrup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more they used various functions in mobile cont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혜란(Roh Hye-Lan),최미나(Choi Mina). (2019).대학생의 모바일러닝 집중도 차이에 따른 학습행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31 (2), 231-252

MLA

노혜란(Roh Hye-Lan),최미나(Choi Mina). "대학생의 모바일러닝 집중도 차이에 따른 학습행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31.2(2019): 231-2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