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문어 교육에서의 학문적 문식성 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이용수 337

영문명
Proposals for establishing concept of academic literacy in Korean education
발행기관
우리말학회
저자명
곽준화(Guo Jun Hua) 최정순(Choe Jeong soon)
간행물 정보
『우리말연구』제57권, 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의 학문적 문식성 개념 정립에 필요한 하위 구성 요소를 밝히고, 학문적 문식성에 대해 위계화하면서 그의 개념을 설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기존 연구들은 학문적 문식성의 구성 요소에 대한 정치한 논의 없이 인용 및 선언적인 주장에 그쳤다. 이로 인해 실제적으로 학문적 문식성 개념을 문어교육에 적용하는데 괴리가 매우 크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학문적 문식성에 대해 인지적, 사회문화적, 실천적 측면에서 재해석하였으며, 기능적 문식성, 문화적 문식성, 정보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 미디어 문식성 등 다섯 가지 하위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외에 학습자들의 정서적 요인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때 학문적 문식성은 1) 목표어로 유창하게 소통할 수 있는 능력, 2) 다양한 정보에 대해 이해, 비판적으로 분석, 수집, 사용하는 능력, 3)디지털 매체로 지식을 탐구 및 소통, 산출할 수 있는 능력, 4) 학문적 공동체에서 나아가 사회의 일원으로서 다른 구성원과 소통하고, 해당 공동체의 문화, 가치, 태도 등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ub-components of Academic Literacy and to define it by hierarchizing academic literacy. As many scholars mentioned, most of foreign students have great difficulties in their studies because of their lack of academic literacy. Based on prior research, the components of academic literacy were not discussed concretely, and its definition was also vagu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are few literature about academic literacy. If a curriculum of academic literacy is to be established, it’s necessary to define academic literacy and clarify the sub-components of it firstly. As a result of this paper, academic literacy should be consisted of five components: functional literacy, cultural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critical literacy, media literacy. In addition, emotional factors of stud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And in KAP education, academic literacy can be defined with 1) ability to communicate fluently with korean language, 2) ability to understand, analyze, collect and use various information critically, 3) ability to explore, communicate, and calculate knowledge with digital media, 4)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members as an member of an academic community and a member of society, to understand the culture, values, and attitudes of the community.

목차

1. 머리말
2. 선행 연구 검토
2.1. 외국어교육에서 학문적 문식성에 관한 논의
2.2. 한국어교육에서 학문적 문식성 관련 연구의 검토
3. 학문적 문식성의 하위 요소
4. 언어 능력에서 학문적 문식성의 위치 및 개념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준화(Guo Jun Hua),최정순(Choe Jeong soon). (2019).한국어 문어 교육에서의 학문적 문식성 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우리말연구, 57 , 1-29

MLA

곽준화(Guo Jun Hua),최정순(Choe Jeong soon). "한국어 문어 교육에서의 학문적 문식성 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우리말연구, 57.(2019): 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