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교과역량 특성 분석

이용수 318

영문명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Competence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English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김미진(Kim Mijin)
간행물 정보
『교과교육학연구』제23권 제2호, 108~117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을 도입하였다. 교과역량은 핵심역량 도달의 전제이고, 학생들의 교과역량 함양은 개별 교과 수업을 통해서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수업을 안내하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교과역량이 반영되어 있어야 한다고 보고, 영어과 성취기준에 반영된 영어과 교과역량의 특성을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초·중·고 영어과 교육과정 문서의 성취기준을 분석의 대상으로, 교과역량을 분석의 틀로 설정하고 빈도와 중심성 값을 산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은 빈도와 중심성 값에서 영어 의사소통 역량으로 크게 편중되어 있었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영어과의 교과역량을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균형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역량을 성취기준에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교과역량을 하위범주로 구체화하고, 각론 내용체계의 ‘기능’을 개발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영어과의 정체성과 특수성을 드러내고 총론의 핵심역량과 연계되는 교과역량 개발이 필요하다. 교과역량을 기르는 교수·학습이 실현되고 궁극적으로 국가 교육과정에서 의도하는 핵심역량의 구현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성취기준 진술문에 대한 교과역량의 반영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core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were introduced in future-oriented perspectives. The general competence is well developed only when subject competence is acquired and subject capacity can be realized through individual lesson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glish competency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ion. For this purpose,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was used to structurally analyze the text and understand semantic relations.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chievement standards in all school levels were heavily biased to the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y. From thi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identified for additional revi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well balanced reflection of subject competency on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in order to systematically reflect subject competencies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departmentalize the subject competencies into subcategories and develop the functionality of the curriculum contents system. Third, subject competence development needs to be aligned with core competence as well as adhere to the expectations and specificity of the English department. By reinforcing the linkage between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it is expecte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quired to raise subject competency will be implemented, and ultimately, the core competence expec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will also be achieved.

목차

I. 서 론
II.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교과역량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시사점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진(Kim Mijin). (2019).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교과역량 특성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3 (2), 108-117

MLA

김미진(Kim Mijin).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교과역량 특성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3.2(2019): 108-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