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스페셜코디네이터의 처우와 역할에 관한 인식

이용수 159

영문명
Recognition on Role and Treatment of the Special Coordinator working in Integrated Job-centered School
발행기관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저자명
신철(Shin Chul) 김정은(Kim Jung-Eun)
간행물 정보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제5권 제1호, 77~10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에 근무하는 스페셜코디네이터의 역할과 처우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스페셜코디네이터와 직업교육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에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로 선정된 학교 48개교 중 스페셜코디네이터 17명과 업무적으로 이들과 연계되어있는 직업교사 144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SPSS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중복응답분석, 기술통계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페셜코디네이터는 장애학생의 직업교육 및 직업재활영역에서 주요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나 고용형태 및 연봉, 복리후생 및 근무 여건 등 낮은 처우 속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페셜코디네이터와 교사 모두 스페셜코디네이터 역할에 대한 학교간 심한 편차 및 업무관련 매뉴얼의 부재로 직무수행의 비체계성 등을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스페셜코디네이터의 처우개선과 역할정립을 위한 방안으로 정규직 전환을 통한 고용 안정화, 스페셜코디네이터의 역할 재정립 및 업무 매뉴얼 보급, 정기적인 연수를 통한 스페셜코디네이터의 역량 강화와 전문성 신장, 전문적인 스페셜코디네이터 양성과정의 필요성 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스페셜코디네이터의 처우개선과 명확한 역할정립은 이들에 대한 인식개선과 전문성 강화에 근간이 되며 효율적인 거점학교 운영과 장애학생의 진로직업능력향상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search role and treatment of special coordinator to work in integrated job-centered school and find the improvement plan. For this, this study did a survey of seventeen special coordinators and one hundred fourt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work in integrated job-centered school used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for data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pecial coordinator charged task of job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ppor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but their treatment about employment status, annual salary, welfare benefits appeared poorly. Second, both of special coordinato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recognized about establishment of exact role, demand of treatment improvement, deviation between each schools, absence of task related manual. Third, the ways for treatment improvement and establishment of exact role appeared as employment stabilization by permanent position transition of special coordinator, supply of systematic task related manual, empowerment by regular training. To conclude, treatment improvement and establishment of exact role of special coordinator based of awareness improvement and professionality reinforcement of them, and this relates to operating of efficient job-centered school and advancement of vocational capac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철(Shin Chul),김정은(Kim Jung-Eun). (2019).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스페셜코디네이터의 처우와 역할에 관한 인식.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5 (1), 77-100

MLA

신철(Shin Chul),김정은(Kim Jung-Eun).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스페셜코디네이터의 처우와 역할에 관한 인식."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5.1(2019): 77-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