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상담자 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 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예비연구

이용수 222

영문명
A Preliminary Research of the Development of Group Art Counseling for the Increase in Counselor-in-training’s Self-efficacy
발행기관
한국발달지원학회
저자명
한미령(Miryeung Han) 조주성(Ju Sung Cho) 장은진(Eun Jin Chang)
간행물 정보
『발달지원연구』제8권 제1호, 91~10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상담자 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 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내용 타당도 검증, 효과성 검증,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박인우(1995)의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모형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효용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 타당도가 부족하다고 나타난 부분은 수정 보완하여 재실시하였으며, 수정 이후의 프로그램 내용타당도는 적합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대전 소재 대학에서 상담 심리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 상담자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하여상담자 효능감의 사전-사후점수 평균을 비교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인상담자 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프로그램이 보다 효과성을 발휘하는 영역을 찾기 위하여 각각의하위척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상담기술 자기효능감과 상담 태도 효능감은 사전-사후 평균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 개발된 프로그램이 상담기술과 상담 태도 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상담 위기 대처 효능감 하위척도에서는 사전-사후 평균 비교 결과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한편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counselor-in-training’s self-efficacy through group art activity counseling program, conducted validity check, effectiveness check, and a survey of level of satisfaction to the participants of this program. This study followed Park’s group counseling program model(1995) to develop a new program, and in the process utilized the Delphi Method to verify content validity and ensure efficacy of the program. Parts of the program indicated to lack validity during the initial Delphi Method examination were revised. Re-examination after revision showed that the program was valid. The completed program was applied to fifteen counselor-in-training who were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at a university in the city of Daejeon. The program’s effectiveness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average of counselor-in-training’s self-efficacy pre-post test going through the program. In result, self-efficacy in genera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o know the detail, each of the sub-categories was analyzed. In result, counselor-in-training’s self-efficacy in counseling skill and counseling attitude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is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ounselor’s self-efficacy in counseling skill and attitude. In contrast, self-efficacy in crisis management during counseling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Meanwhile, participants’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program was high in general. Lastly, limit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미령(Miryeung Han),조주성(Ju Sung Cho),장은진(Eun Jin Chang). (2019).예비 상담자 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 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예비연구. 발달지원연구, 8 (1), 91-106

MLA

한미령(Miryeung Han),조주성(Ju Sung Cho),장은진(Eun Jin Chang). "예비 상담자 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 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예비연구." 발달지원연구, 8.1(2019): 91-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