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용 행복 메타인지 검사의 준거 관련 타당화 연구: Keyes의 긍정적 정신건강 모델을 중심으로

이용수 303

영문명
A Criterion-related Validation Study of Happiness Meta-cognition Questionnaire for Adolescents: Based on Keyes’ Positive Mental Health Model
발행기관
한국심리치료학회
저자명
김현정(Hyun-Jung Kim) 김진영(Jin-Yo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1권 제1호, 45~6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 메타인지를 측정하는 행복 메타인지 검사를 청소년을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252명(남자 100명, 여자 152명)을 대상으로 행복 메타인지와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 자기효능감, 또래 관계, 지각된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평정자 간 신뢰도를 통해 검사의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Cronbach’s α=.85로 나타나 신뢰할 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행복 메타인지는 자기효능감 및 또래관계와는 정적 상관이, 지각된 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서 행복 메타인지 수준은 쇠약과 부적응 유형보다 번영 유형에서 더 높았으며, 부적응 유형보다 분투 유형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준거 관련 변인에 따라 행복 메타인지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행복 메타인지 검사의 준거관련 타당도가 확인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긍정적 정신건강 및 행복 증진을 위한 개입 방향과 함께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alidate the Happiness Meta-cognition Questionnaire which measures adolescents’ ability in happiness meta-cognition. Participants were 252 high school students (100 males, 152 females).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Happiness Meta-cognition Questionnaire, the Positive Mental Health Scale, Self-efficacy Scale, IPPA-R and the Korean Version of Perceived Stress Scale. The result of inter-rater reliability between the raters showed an adequate level, thus indicating that the Happiness Meta-cognition Questionnaire is a reliable assessment tool. To confirm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e administere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appiness meta-cognition and the mental health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happiness meta-cogni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stress. According to positive mental health types, flourishing type showed higher happiness meta-cognition than languishing and floundering type, and struggling type higher than floundering type.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정(Hyun-Jung Kim),김진영(Jin-Young Kim). (2019).청소년용 행복 메타인지 검사의 준거 관련 타당화 연구: Keyes의 긍정적 정신건강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1 (1), 45-61

MLA

김현정(Hyun-Jung Kim),김진영(Jin-Young Kim). "청소년용 행복 메타인지 검사의 준거 관련 타당화 연구: Keyes의 긍정적 정신건강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1.1(2019): 45-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