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와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의 관계
이용수 2657
- 영문명
- The Relations Among Non-Suicidal Self-Injury,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in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화정(Hwa-Jung Kim) 송현주(Hyun Joo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1권 제1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1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해는 자살에 선행하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 개인에서 여러 가지 부정적인 결과들을 초래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해행동은 임상군 뿐만 아니라 임상적 문제를 가지지 않은 삶의 기능이 높은 개인에게도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비자살적 자해 경험과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려고 한다. 연구도구는 자해기능평가지(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자의식적 정서 척도(Test of Self-Conscious Affect-adolescent)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은 비자살적 자해 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중등도/중증도 수준의 자해는 죄책감경향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경도수준의 자해는 수치심경향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중등도/중증도 수준의 자해 집단과 경도 수준의 자해 집단 간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중등도/중증도 수준의 자해 집단이 경도수준의 자해 집단에 비해 죄책감경향성 점수가 다소 낮은 경향성이 있었다. 즉, 본 연구에서는 중등도/중증도 자해에 개입을 할 때 죄책감경향성을 고려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점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Self-injury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suicide, it is known to cause several negative consequences in individuals. Self-injurious behavior even occurs in high-functioning individuals who do not have clinical problems. In this study, 99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ing experiences in non-suicidal self-injury were survey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shame proneness, guilt proneness, frequency and severity of nonsuicidal self-injury.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ization and the Test of Self-Concern Affect-adolescent were used for the research tools. The result shows shame proneness and guilt proneness predicted non-suicidal self-injury, moderate/severe level of non-suicidal self-injur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guilt proneness, and nonsuicidal self-injury of mild leve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hame proneness.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uilt proneness and shame proneness between the moderate/severity level and mild level non-suicidal self-injury group, but the moderate/severe non-suicidal self-injury group showed a tendency to have a lower guilt proneness score compared to the other group. In other words, this study confirmed that should also considered account guilt proneness when intervening in the non-suicidal self-injury group at the moderate/severe level. At the e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included.
목차
서 론
방 법
연구결과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가족확대기 이민 1세대 부부를 위한 부부관계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 상담사의 영성 인식과 상담 장면에서의 영성체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자살 중간 위험 수준에 있는 청소년의 또래관계 경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