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일 교육을 바라보는 유아 교사들의 이야기

이용수 119

영문명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pectives on unification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권종애(Kwon Jong-Ae)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20권 제4호, 149~1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1.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 교육을 바라보는 유아 교사들의 사고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통일 후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하여 탐색하는 양적, 질적 사례연구이다. 31명의 유아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 연구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료의 분석, 텍스트의 범주화 및 주제화를 통하여 유아 교사들의 통일 교육에 대한, 이야기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아 교사들은 통일이 된다면 남북한이 화합을 위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점은 교육제도의 화합 (35개), 경제관념에 대한 화합(31개), 언어의 이질성 극복하기(25개), 국가체재의 화합(24개), 문화 이질성 극복하기(23개), 법체계의 화합(19개), 나라를 상징하는 것의 화합(17개), 교통체계의 화합(17개), 군사체계의 화합(11개), 역사교육의 화합(9개), 복지제도의 화합(7개), 통신체계의 화합(6개), 의, 식, 주의 화합(각4개), 정서, 자유, 종교의 화합 (4개) 등의 순서로 도출된 주제는 총232개로 나타났다. 또한, 통일 이후 유아 교사들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점에서 교육의 변화가 일어날 것인지에 대한 집단토론을 실시 한 후 도출된 주제를 범주화하고 이름을 붙였다. 그 내용은 ‘통일 미래의 화합과 비전’, ‘통일로 가는 징검다리’, ‘통일의 느낌 경험하기’, ‘통일 한반도 사회교육’이다. 즉 통일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사고는 통일 이후 효율적인 통일 교육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통일 교육에 대한 이해 및 연구를 통해 향후 통일 교육 정책 및 교육의 방향을 지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explores the change of educational paradigm after unifi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or view unification education. 31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m.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pectives on unification education were examined through data analysis, text categorization, and topicalization. As a result,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teachers responded if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takes place was harmonization of an education system (35), followed by harmonization of economic ideas (31), overcoming heterogeneity in language (25), harmonization of the national system (24), overcoming heterogeneity in culture (23), harmonization of legal system (19), harmonization of the symbolism of the country (17), harmonization of the transportation system (17), harmonization of the military system (11), harmonization of history education (9), harmonization of welfare system (7), harmoniz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6), harmonization of food, clothing, and places to live (4 each), and harmonization of the ways of expressing emotion, freedom, and religion (4). The total number of themes that were derived from participants was 232. In addition, group discussions were held about what kind of educational changes would occu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fter unification. The data from the teacher discussion were categorized into harmonization and vision for national unification of Korea in the future , stepping onto the bridge to unification , experiencing the feeling of unification , and social edu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 Desirable recognition and thinking about unification can result in efficient unification education after unification. Thus, it is meaningful to have an opportunity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policy afterwards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studying unification education.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종애(Kwon Jong-Ae). (2019).통일 교육을 바라보는 유아 교사들의 이야기. 한국유아교육연구, 20 (4), 149-170

MLA

권종애(Kwon Jong-Ae). "통일 교육을 바라보는 유아 교사들의 이야기." 한국유아교육연구, 20.4(2019): 149-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