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사자가 인식하는 그룹홈 정체성 - 탈시설과 관련하여 -

이용수 561

영문명
Group home workers perceptions about the identity of deinstitutionalization-related group home
발행기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저자명
박숙경(Park Suk Kyung)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인복지학』제42호, 227~25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현장의 논쟁적 이슈의 하나인 ‘탈시설과 관련하여 그룹홈의 정체성을 어떻게 볼 것인지’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핵심적인연구질문은 종사자들이 그룹홈을 시설 또는 탈시설로 보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시설과 탈시설적 특성은 각각 무엇이고, 시설과 탈시설 사이의 혼란을 일으키는 특성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수집된 그룹홈 종사자 58인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5인은 시설, 23인은 탈시설로 보고 있었다. 시설로 보는 이유는 15개로 나타났고, 제도적 한계, 기관의 운영방식, 관련주체들의 인식 이상 3개로 범주화되었다. 탈시설로 보는 이유는 8개로 나타났고, 제도적 강점, 서비스 방식, 종사자의 탈시설과 그룹홈의 관련성 인식’ 이상 3개로 범주화되었다. 두 개의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시설적 특성은 ‘훈련과보호중심의 운영목적, 1:4의 열악한 지원체계, 공동생활과 종사자 동거로 인한 자율성과 주도성 침해, 입주선택권 비(非)보장에 따른 장기입주, 대규모시설과 동일한 행정관리와 평가체계 및 예산지급방식, 이용자와 관련자들이 집으로 인식하지 않음’ 이상 6개로 압축되었다. 탈시설적 특성은 ‘가정과 같은 환경, 지역사회에서의 삶, 이용자가 일반수급자임’ 이상 3가지로 압축되었 다. 시설과 탈시설 사이에서 혼란을 일으키는 특성은 ‘행정관리체계의 비일관성, 운영기관의 철학과 운영방식, 인식주체의 탈시설 개념’ 3가지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has been executed to explore the issue of ‘how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the group home in relation with the deinstitutionalization’ which is causing controversy at welfare field of person with disabilities. The main questions of the research have been ‘What is the reason that worker regard group home as deinstitutionalization?’,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and deinstitutionalization respectively?’ and ‘What ar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which cause group home’s identity confusion between the institution and the deinstitutionalization?’ To find the answers for these questions, I analysed 58 group home workers’ answers by the open questionnaire. The result was that 35 workers regarded them as institution, 23 workers regarded them as deinstitutionalization. There found to be 15 reasons why they regard them as institution, which could be categorized into 1. innate limitation of the political system, 2. operational way of the group home 3. people’ conception on deinstitutionalisation. There found to be 8 reasons why they regard them as deinstitutionalization, which could be categorized into 1. the system’s merit itself, 2. different way of service, 3. workers’ understandings of group homes’ relation with deinstitutionalization. By comparison of two analysis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has been focused into: ‘1. training/protection oriented operation. 2. 1:4의 lousy support system, 3. infringement of self-regulation and initiative by communal life and living together with worker, 4. long-term living because of no choice, 5. the same management and estimation system and budget supply, 6. the fact that the users and related people don’t regard it as hom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institutionalization has been focused into: ‘1. homely environment, 2. living in the community, 3. the users are general beneficinary. The characteristics that caused identity confusion between the institution and deinstitutionalization was 1. inconsistency in administry manegement system 2. philosophy and the way the operating agency is run, 3. persons’ understandings of deinstitutionaliz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분석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숙경(Park Suk Kyung). (2018).종사자가 인식하는 그룹홈 정체성 - 탈시설과 관련하여 -. 한국장애인복지학, (42), 227-255

MLA

박숙경(Park Suk Kyung). "종사자가 인식하는 그룹홈 정체성 - 탈시설과 관련하여 -." 한국장애인복지학, .42(2018): 227-2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