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 개념사의 핵심

이용수 283

영문명
Peace as ‘No-war’(非戰), ‘Anti-militarism’(反軍國主義), and ‘Non-nuclear’(非核): The Core of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Peace in Japan
발행기관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저자명
이찬수(Yi, Chan Su)
간행물 정보
『국제이해교육연구』제13권 제2호, 77~11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메이지 시대부터 전후에 이르는 일본의 주요 사상가들에게 평화는 ‘비전(非戰)’, ‘반군국주의(反軍国主義)’, ‘비핵(非核)’으로 대변되는 이상적 가치였다. 전쟁을 통한 군국주의적 팽창과 그로 인한 무력적 살상을 반대하면서, 각종 물리적 폭력의 가능성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한 메시지가 일본적 평화 담론의 요지였다. 20세기 후반에는 일본의 전쟁 책임을 반성적으로 의식하고, 핵무기와 같은 전쟁 병기를 거부하면서, 전쟁포기를 선언한 ‘헌법9조 수호 운동’ 및 반핵운동으로 확장되어가는 중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평화를 비전, 반군국주의, 비핵 등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은 현실에서는 전쟁, 군국주의, 핵발전 등 그 반대의 흐름이 더 컸다는 뜻이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부터 패전 때까지 78년 동안 각종 전쟁이 끊이지 않았다. 전쟁은 정당화되었고, 정의로운 것으로까지 치부되었다. 현실에서는 ‘힘에 의한 평화론’이 늘 득세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록 ‘비’전(非戰), ‘반’군국주의(反軍国主義), ‘비’핵(非核)에 담긴 부정[非], 반대[反] 등의 언어가 주류였던 적은 없지만, 일본에서 평화와 관련된 목소리는 물리적, 특히 군사적 힘의 확대를 경계하고 비판하면서 오늘도 지속되고 있는 중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사정과 상황을 염두에 두고서 일본 내 평화 개념의 역사(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peace)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일본에서는 평화 혹은 그에 해당하는 가치를 누가 제기하고 어떻게 계승해 왔는지, 일본인은 지난 수세기에 걸쳐 평화의 의미를 어떻게 상상해왔는지, 일본적 평화의 원류에 해당하는 개념이 있다면 무엇이었는지 등을 역사적 흐름을 따라 정리해보려는 것이다. 특히 일본 평화론의 기념비적 역작인『日本平和論大系󰡕에 등장하는 안도 쇼에키, 요코이 쇼난, 나카에 초민, 우에키 에모리, 고토쿠 슈스이, 우치무라 간조 등은 물론, 요시노 사쿠조, 야나이하라 타다오, 가가와 도요히코, 일본국헌법(평화헌법), 마루야마 마사오 등의 사상가가 평화를 어떻게 상상했는지도 살펴보겠다. 이를 통해 일본 평화주의자들은 대체로 제국주의, 군국주의, 자본주의, 독재정치 등을 비판하고, 자유, 민권, 사회주의, 기독교 등에 입각한 비전/반전, 징병거부 등의 목소리를 높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헌법 9조 수호 운동 및 반핵 혹은 탈핵 등으로 세분화해온 일본 평화론의 현주소도 짚어보도록 하겠다.

영문 초록

For major Japanese thinkers from the Meiji period to the postwar period, peace was an ideal value that had been represented by the ideas of “no- war”(非戰), “anti-militarism(反軍國主義),” and “non-nuclear(非核)”. The voices to eliminate, or reduce, the possibility of physical violence were a key to the Japanese peace discourse, while opposing the expansion of militarism through war and its violent killing. The concept of peace of Japan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can be summarized not only as a process of anti-nuclear movement but also as a campaign to defend Article 9 of the Constitution which renunciation of war was expressed while reflective awareness of Japan’s responsibility for the war arose and the renunciation of weapons, such as nuclear, was proclaimed. Understanding peace as no-war, anti-militarism, and denuclearization means that, in reality (of the 20th century of Japan), the opposite trends, such as war, militarism, and nuclear power, were superior. Practically, Japan continued to wage wars for 78 years from the Meiji period to the defeat in the Pacific War. The war was justified and even, regarded as just. In reality, ‘peace by power always prevailed. Although the negative prefixes such as ‘no-’, ‘non-’, and ‘anti-’ as in no-war, non-nuclear, and anti-militarism have never been mainstream; nevertheless, peace-related voices in Japan has been continuing to have a say in warning and criticizing the expansion of physical - and in particular, military - power. With these circumstances in mind, this paper would like to summarize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peace in Japan. This paper will examine historical streams to see who raised and inherited the peace or its values, how Japanese have imagined the meaning of peace over the past centuries, and what the concepts that correspond to the origin of Japanese peace were. Especially, this paper will look at how Japanese thinkers(Yoshino Sakuzo, Yanaihara Tadao, Kagawa Toyohiko, Article 9 of the Japanese Constitution(日本国憲法第9条), Maruyama Masao as well as Ando Shoeki, Yokoi Shonan, Nakae Chomin, Ueki Emori, Kotoku Shusui, Uchimura Kanzo and so on) in『A Compendium of Japan Peace Theory』(日本平和論大系), a monument to Japan s pacifism, imagined peace. This shows that Japanese pacifists have generally criticized imperialism, militarism, capitalism, and dictatorship, and raised voices toward no/anti-war and rejection of conscription based on freedom, civil rights, socialism, and Christianity. This paper will also look into the present state of Japanese pacifism, which has been subdivided into the movement for the defense of Article 9 of the Constitution, denuclearization, and/or anti-nuclear movement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일본 평화론 대계
Ⅱ. 일본 평화론의 씨앗, 메이지 이전
Ⅲ. 메이지 전후의 평화론, 대국으로의 길과 민권운동
Ⅳ. 청일전쟁기와 러일전쟁기의 반전 평화론
Ⅵ. 나가는 말: ‘공기’의 창조로서의 평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찬수(Yi, Chan Su). (2018).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 개념사의 핵심. 국제이해교육연구, 13 (2), 77-118

MLA

이찬수(Yi, Chan Su). "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 개념사의 핵심." 국제이해교육연구, 13.2(2018): 77-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