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34

영문명
Developing Measurement Tools and Valid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Specialization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정민수(Jung Min-Soo) 부재율(Boo Jae-Yool)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11권 제3호, 185~20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교사가 갖춰야 할 수업전문성 구성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예비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예비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측정도구에 포함시켜야 할 하위 구인들을 탐색하고 이를 위해 예비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문헌연구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지식, 계획, 실천, 전문성 4개 영역과 10개 하위요인에 대한 문항을 개발하고 이에 근거한 문항을 제작하였다. 문항이 제작된 후 표본을 선정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초에 구성한 전문성 대영역에 대한 하위요인 중 수업반성 및 전문성발달 요인을 예비 초등교사들이 구분하여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본검사에는 3개의 대영역과 9개의 하위요인을 포함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적합도 지수가 매우 양호하여 설정된 하위요인들은 예비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검사를 구성하는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근거하여 개발된 문항들은 각 하위구인들을 적절하게 대표하는 문항들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수업전문성 검사도구는 수업전문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현 시점에서 예비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수준을 탐색 할 수 있는 시험적 검사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specialization to clarify constituent factors of teaching specialization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ve to prepar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ask we checked what components needed to be involved in the measurement, made sure they were relevant to the task, and finally created component categories. After creating categories, we chose the model categories and conducted appropriate background research. Next we executed various statistical analysis procedure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defined categories. The component categories were then finalized for the task. To this end we gathered a variety of expert opinions from published research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specialization. Four categories were identified and investigated; Knowledge, Planning, Application, and Specialization. The main categories were further divided into ten subcategories. The validity of each subcategory was individually checked. Upon checking the categories, the list was refined and resulted in three main categories and nine subcategories. The categories were checked using identifying factors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s analysis. Class Reflection and Specialization Development, both subcategories of Specialization, were combined because it was concluded that pre-service teachers do not recognize a distinction between the two.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elected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represented appropriate models to measure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specialization. The components of each subcategory that were made based on the previously mentioned analysis were also shown to be applicable to the purpose. Because so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classroom practice and teaching these days, this measurement could prove to be helpful for checking pre-service teachers specialization proficien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민수(Jung Min-Soo),부재율(Boo Jae-Yool). (2013).예비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종합연구, 11 (3), 185-200

MLA

정민수(Jung Min-Soo),부재율(Boo Jae-Yool). "예비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종합연구, 11.3(2013): 185-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