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극치료를 통해 본 시각장애 청소년의 긍정적인 자기성장의 과정

이용수 226

영문명
The Process of Positive Self-Growth among Adolesc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rough Drama Therapy
발행기관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저자명
정선아(Sun-ah Jung)
간행물 정보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학술대회지』13회,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02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극치료 활동이 시각장애 청소년의 자기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그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저시력 시각장애인 3인과 전맹 시각장애인 2인으로, 저시력 시각장애인 3인 중 2인은 1급을 판정 받았으며 1인은 4급을 판정 받았다. 대상의 연령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8세 3인과 23세 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성원 모두 청소년 기본법상 청소년기에 속하는 연령이다. 청소년기는 심리적·신체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면서 자아정체감을 형성해 나가는 시기이므로 여러가지 측면에서 스트레스가 가중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시각장애 청소년들은 시각의 제한으로 인해 불안과 긴장감이 일반 청소년 보다 높은 편이며, 이는 사회적 활동의 위축을 가져다주고 결국 부정적인 정서발달을 야기할 수 있다. 김동연 ⁃ 임호찬(1992)은 시각장애학생은 정안학생에 비해 주변 환경이나 대인관계에 있어 방어적이고 사회에 순응적이며 스트레스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하다고 했으며 특히 방어기제로 억압과 부정을 많이 사용하고 자신에 대한 통찰력이 부족하다고 했다. 사람은 타인과 관계를 맺으며 자기를 발견하고 구축해 나간다. 그런 의미에서 시각장애인들이 각자의 긍정적인 자기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꾸준히 타인과 함께 하는 활동 안에서 나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고 주고받으며 정서적인 면을 발달시킬 필요성이 있다. 작업은 2017년 4월부터 12월까지 진행 되었으며 치료적 공연을 포함해 총 32회기로 실시하였고 16회기 이후 한 달간 방학으로 인한 휴식기를 지낸 후 하반기 16회기를 진행하였다. 전체 총 3단계로, 참여자들의 상태를 진단하고 이슈를 확인 하는 1단계, 나의 결핍과 상처를 인식하고 제대로 마주하는 2단계, 그리고 1,2단계에서 나온 문제점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법을 역할과 연관 지어 찾고 치료적 공연 무대에 서는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작업 전반에 걸쳐 참여자들은 시각을 제외한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상상하고 그것을 신체와 언어로 승화시키는 활동을 경험했다. 시각을 통한 이미지 생성은 구체성과 접근에 용이하다는 특성이 있지만 오히려 인간의 상상력을 제한하고 주관적 반응을 객관화 시키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그런 의미에서 시각을 제외한 다른 감각을 통한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상상과 움직임은 다양한 이미지의 변형과 역할의 유연함을 가져올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주 치료사로 치료의 과정을 진행하고 개입하면서 시각장애 청소년이 연극치료를 통해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재활을 경험하고 더불어 긍정적인 자기 성장을 이루어 건강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점을 확인한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ama therapy activities on the self-growth of adolesc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the process of their effects on it. The subjects include five adolesc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cluding three with low vision and two with complete vision loss. Of three with low vision, two and one received Disability Grade 1 and 4, respectively. Three and two of the subjects were 18 in high school and 23, respectively. In terms of age, all of the subjects were in adolescence according to Framework Act on Juveniles. Since adolescents form their self-identity by experiencing various changes psychologically and physically during adolescenc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y will suffer more stress in many different aspects. Adolescents with visual impairments have, in particular, a higher level of anxiety and nervousness due to their limited vision than common adolescents, thus being withdrawn in their social activities and eventually facing negative emotional development. Kim Dong-yeon and Yim Ho-chan(1992) reported tha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ere defensive against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s 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formed to the society, lacked endurance for stress, used a lot of suppression and negative mechanisms as defense mechanisms especially, and were in shortage of insights into themselves compared with students with normal vision. Human beings discover and build themselves,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which sens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need to express and exchange their ideas and feelings consistently in activities they do with others and thus develop their emotional side for respective positive self-growth. The program lasted from April to December, 2017, offering total 32 sessions including therapeutic performance. After 16 sessions, the participants had a break for a month due to their vacation. They participated in the other round of 16 sessions in the latter half of the year. The program consisted of total three stages: Stage 1 diagnosed the state of the participants and checked their issues; Stage 2 allowed them to perceive and face straight their deficiency and wounds; and Stage 3 connected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and roles to the issues identified in Stages 1 and 2 and helped the participants put on therapeutic performance on the stage. Throughout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imagined a range of images with various senses except for vision and sublimated them with their body and language in the activities. Vision-based image creation has such advantages as specificity and easy access, but it could limit human imagination and make an error of objectifying subjective responses. In this sense,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change images in various ways and bring flexibility to their roles through their free imagination and movements based on different senses excluding vision.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investigator ran a therapy process as the main therapist and made an intervention, helping a group of adolescents with visual impairments experience emotional stability and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through drama therapy, make positive self-growth, and live as healthy members of the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선아(Sun-ah Jung). (2018).연극치료를 통해 본 시각장애 청소년의 긍정적인 자기성장의 과정.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학술대회지, 13 , 1-20

MLA

정선아(Sun-ah Jung). "연극치료를 통해 본 시각장애 청소년의 긍정적인 자기성장의 과정."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학술대회지, 13.(2018):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