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학교관계자 운영경험 연구

이용수 234

영문명
A Qualitative Research of Teachers and Parents Operation Experience on Special School Parents Education Programs
발행기관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저자명
김효경(Kim Hyo Kyoung) 정연수(Jeong Yeon-soo)
간행물 정보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제4권 제1호, 65~9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관리자 및 실무자, 참여부모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장애부모의 자녀양육관련 내용 및 가족의 정서적, 지식적 정보제공과 함께 가족 전체의 행복증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 적극적인 경기도 소재 3개교를 최종 선정하여 관리자 및 담당교사, 그리고 부모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부모 운영경험을 심층면담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 방법으로서 인터뷰전사, 코딩, 핵심주제생성과 이를 통한 결과도출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의 긍정적 효과로 특수교육의 이해, 심리정서적 안정, 부모역할이해, 자녀지도방법 공유, 학교에 대한 신뢰증가 등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어려움으로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전문담당자의 부재, 전문강사 선정의 어려움, 예산 및 시설의 부족이 핵심주제로 생성되었다. 셋째, 부모가 희망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로는 상담을 통한 정서 및 심리적 지원, 기본정보에 대한 지식, 역량강화프로그램, 가족과 함께하는 프로그램 및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부모교육 운영자의 역량강화 교육,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예산지원의 확보, 관리자 마인드와 실무자 열정, 지역사회 서비스의 연계 방안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특수학교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은 산발적이거나 단편적 프로그램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애아동을 둔 부모의 정서 심리적 지원강화 프로그램과 함께 가족의 역량강화를 돕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교육현장의 관리자 마인드와 운영실무자의 열정이 중요함으로 시사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ort emotional stability, child teaching methods,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happiness enhancement of family and parents with disabled through experience investigation of special school administrator, practical teachers and participating parents. For this, this study chose three special schools in Gyunggi-do and proceed deep-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Study research of this article was qualitative research and transcribed recording interview and coded data and generated some core them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First, the positive effects appeared as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emotional statibility, understanding of parents role, sharing of child teaching methods and increased confidence. Second, difficulties of program operation of parents education appeared as diversity lack of program, absence of specialist, lack of budget and facilities. Third, needs of hoping program appeared as emotional support through counseling, knowledge about basic information and empowerment program for their families. Forth, ways for operation vitalization appeared as empowerment education of program operator,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securement of budget support and mind and passion of administrators and connection ways with commun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효경(Kim Hyo Kyoung),정연수(Jeong Yeon-soo). (2018).특수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학교관계자 운영경험 연구.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4 (1), 65-92

MLA

김효경(Kim Hyo Kyoung),정연수(Jeong Yeon-soo). "특수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학교관계자 운영경험 연구."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4.1(2018): 65-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