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기도의 크기

이용수 3

영문명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AIRWAY SIZE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MALOCCLUSION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이용승(Yong-Seung Lee) 김종철(Jong-Chul Kim)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5권 제1호, 19~29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5.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앵글씨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두부형태, 연구개, 혀 및 기도의 크기를 비교하고 치아안면골격과 기도의 크기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전남대학교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12세부터 17세 사이의 여성 환자 98명을 연구대상으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촬영하여 치아안면골격과 기도에 관한 거리, 각도, 비율 및 면적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악골체 길이, SNB, ANB, facial angle, facial convexity, A-B plane angle, Y axis to FH, SN-MP, Wits appraisal, ODI, APDI는 부정교합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2. 설골의 전후방위치는 II급 부정교합자의 설골이 다른 군에 비해 후방 위치하였으나 상하방위치는 부정교합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비인두의 면적은 II급과 III급 부정교합자가 1급 부정교합자에 비해 작게 나타났으며, 인두의 총면적은 II급 부정교합자가 I급과 III급 부정교합자보다 작게 나타났다.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연구개, 혀, 구인두 및 하인두의 면적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하악지 고경과 하악골체 길이는 혀, 비인두, 구인두 및 인두의 면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SNA는 혀 및 기도의 크기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SNB는 하인두 및 인두의 면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전안면고경, 후안면고경, facial plane에 대한 상하악 중절치의 위치는 혀의 면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ize of soft palate, tongue and airway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malocclusion and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ze of soft palate, tongue, airway and dentofacial skeleton respectively.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98 malocclusion female patients between the ages 12 and 17 years. Th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and the distance, angle, ratio and area of the dentofacial skeleton, soft palate, tongue and airway were measured and evaluated statistical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NB, ANB, facial angle, facial convexity, A-B plane angel, Y axis to FH, SN-MP, Wits appraisal, ODI and APDI according to the types of malocclusion. 2. The hyoid bone was more posteriorly positioned in Class II malocclusion group than other two groups and superior-inferior position of the hyoid bone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locclusion types. 3. The nasopharyngeal area of Class II and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was smaller than that of Class I malocclusion group, and the pharyngeal area of Class II malocclusion group was smaller than that of Class I and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area of the soft palate, tongue, oropharynx and hypopharynx according to malocclusion types. 4. The ramal height and mandibular body length(Go-M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rea of tongue, nasopharynx, oropharynx, and pharynx. SNA did not correlated with the area of tongue and airway but SNB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rea of hypopharynx and pharynx. The anterior, posterior facial height, upper and lower central incisor position to facial plan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ongue are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용승(Yong-Seung Lee),김종철(Jong-Chul Kim). (1995).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기도의 크기.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5 (1), 19-29

MLA

이용승(Yong-Seung Lee),김종철(Jong-Chul Kim).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기도의 크기."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5.1(1995): 19-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