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두부방사선 분석에 의한 상악전치부 후방이동시 연조직 변화 예측에 대한 연구

이용수 14

영문명
Soft tissue profle change prediction in maxillary incisor retraction based on cephalometrics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최진희(Jin-Hee Choi) 이진우(Jin-Woo Lee) 차경석(Kyung-Suk Cha)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7권 제1호, 65~7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장에 의한 효과를 배제한 교정치료시의 연조직 변화와 치아 및 악골의 수평적, 수직적 움직임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예측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Angle씨 2급 1류 부정교합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치아 및 악골, 연조직의 수평, 수직이동의 평균 변화량을 측정하고 연조직에 대한 계단식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경조직 계측항목 중 상악 중절치의 수평이동 및 기울기, 하악 중절치의 수평 및 수직이동, 수평피개량, 수직피개량, interincisal angle, 하악골 위치 변화, A, B 경조직 측모 돌출각 등의 항목에서, 연조직 계측항목 중 상순의 두께 및 후방이동, 기울기, 하순의 후방이동 및 기울기, interlabial angle, 비순각, 이순각, Sn, Ss, Si, 연조직 측모 돌출각등의 항목에서 치료 전화 후에 유의성 있게 변하였다(P<0.05). 2. 치료전 후 유의한 변화를 보인 연조직 계측항목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경조직의 변화에 대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3. 연조직 회귀방정식에 중절치 수평피개량, 상악 전치 절단연의 후방이동량, 상악 전치 치근의 후방이동량, Pg의 수평변화량이 가장 높은 빈도로 포함됨으로써 이들은 연조직의 수직 및 수평변화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으며 하악 전치의 수직이동량은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연조직 변화와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 Sn의 수직 및 수평변화는 경조직의 가장 많은 항목과 연관됨으로써 (A, B, Pg(H), overjet, upper invisor angle, Ur, Is(H)) 여러 경조직 변화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연조직 계측항목에 대한 상관계수(R2)의 범위는 0.2-0.6으로 중등도의 상관정도를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soft tissue response to incisor movement and mandibular repositioning and to determine feasibility of predicting vertical and horizontal changes in soft tissue with hard tissue movement. For this study, cephalometric records of 41 orthodontically treated adult females who had Angle´s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ere selected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by analysing the changes of soft tissue and hard tissue before and after treatment. 1. Hard tissue measurements that showed significant chang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re horizontal and angular changes of maxillary incisor, horizontal,vertical and angular changes of mandibular incisor, overjet, overbite, interincisal angle, mandibular repositioning, A,B, skeletal convexity and soft tissue measurements that showed significant changes were horizontal, thickness and angular changes of upper lip, horizontal and angular changes of lower lip, interlabial angle, nasolabial angle labiomental angle, Sri, Ss, Si and soft tissue convexity(P<0.05). 2. All Soft tissue measurements chang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treatment had between one and four hard tissue independent variables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dicating that all soft tissue changes were direct relationship with hard tissue changes 3. Ova jet, horizontal change of maxillary incisor, horizontal change of maxillary root apex and horizontal change of pogonion entered into prediction equations most frequentely indicating that they were mo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changes in the soft tissue with treatment, but vertical changes of mandibular incisor not entered any prediction equations, indicating that it was not considered a good predictor for soft tissue changes with maxillary incisor retraction. 4. Horizontal and vertical changes in subnasale were found to have most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in prediction-equations(ΔSn(H): Ur, Is(H), Pg(H), UIA,ΔSn(V): Is(H), Pg(H), overjet, A), indicating that subnasale changes are influenced by complex hard tissue interaction. 5.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R2) of the soft tissue prediction equations ranges from 0.2-0.6.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희(Jin-Hee Choi),이진우(Jin-Woo Lee),차경석(Kyung-Suk Cha). (1997).두부방사선 분석에 의한 상악전치부 후방이동시 연조직 변화 예측에 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 (1), 65-78

MLA

최진희(Jin-Hee Choi),이진우(Jin-Woo Lee),차경석(Kyung-Suk Cha). "두부방사선 분석에 의한 상악전치부 후방이동시 연조직 변화 예측에 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1(1997): 65-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