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정교합자의 수완부 골성숙도에 관한 누년적 연구(1)

이용수 7

영문명
A longitudinal study on the skeletal maturity of the hand and wrist among various malocclusion groups (I)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김경호(Kyung-Ho Kim)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9권 제2호, 183~19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성장기 환자의 교정치료에서 신체의 성장 발육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 다. 특히 부정교합에 따라 성장 발육시기가 차이를 보인다면 교정치료 시기의 선택에 있어 서 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하므로 부정교합의 양상에 따른 성장 발육상태를 평가하는 것 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정교합 분류에 따라 골성숙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8-10세의 여자 1급 부정교합자 38명, Ⅱ급 부정교합자 36명, Ⅲ 부정교합자 33명을 대상으 로 약 6개월 간격으로 12-13세까지 누년적으로 촬영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성숙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부정교합에 따른 골성숙도의 차이는 없었다. 2. 유구골의 구상돌기(hamular process)는 9.16±0.72세, 두상골(pisiform bone)은 9.13±0.71 세, 모지척측 종자골(ulnar sesamoid)은10.34±0.84세에 관찰되었다. 3. 골단이 골간을 둘러싸는 시기는 셋째 수지의 원심부 지절과 중간 지절에서 각각 10.96± 0.80세, 11.27±0.87세였으며, 첫째 수지에서 근심부 지절에서는 11.12±0.86세, 요골에서는 11.21±0.82세, 다섯째 수지의 중간 지절에서는 11.62±0.85세였다. 4. 두상골의 출현은 유구골 구상돌기의 출현과(r=0.91), 모지척측 종자골의 출현은 구상돌기 의 진해성 화골시기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86), 골단이 골간을 둘러싸는 시기는 여러 부위가 상호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80-0.90). 5. 다섯째 수지의 중간 지절의 형태가 가장 변이가 심하였다.(20.6%)

영문 초록

Growth and development evaluation of patients with growth potential is of great importance for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Timing of orthodontic intervention greatly depends on one`s developmental status, thus if there is a difference in skeletal maturation among malocclusion types different treatment timing should be appli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skeletal maturation among different malocclusion types.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as 38 ClassⅠ. 36 ClassⅡ and 33 ClassⅢ females aging from 8 to 10 years. Handwrist X-rays were taken with 6 month interval till 12-13 years of 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keletal maturity difference among different malocclusion types. 2. The hamular process of hamate was observed at 9.16±0.72 years, pisiform bone at 9.13±0.71 years and the ulnar sesamoid at 10.34±0.84 years. 3. The timing of epiphyseal capping on the third finger was 10.96±0.80 years for distal phalanx and 11.27±0.87 years for middle phalanx, 11.12±0.86 years for proximal phalanx of the first finger, 11.21±0.82 years for radius and 11.62±0.85 years for middle phalanx of the fifth finger. 4. The appearance of pisiform bone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appearance of hamular process of hamate(r=0.91), and ulnar sesamoid bone appearance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advanced ossification of hamular process(r=0.86). Timing of epiphyseal capping among different parts showed high correlation(r=0.80-0.90). 5. The shape of middle phalanx of the fifth finger showed the highest variability (20. 6%).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호(Kyung-Ho Kim). (1999).부정교합자의 수완부 골성숙도에 관한 누년적 연구(1).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9 (2), 183-195

MLA

김경호(Kyung-Ho Kim). "부정교합자의 수완부 골성숙도에 관한 누년적 연구(1)."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9.2(1999): 183-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