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3차원 두부영상의 기준좌표계 설정을 위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Formulation of a referce coordinate system of three-dimensional (3D) head & neck images: PartⅠ. Reproducibility of 3D cephalometric landmarks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박재우(Jae-Woo Park) 김남국(Nam-Kug Kim) 장영일(Young-Il Chang)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35권 제5호, 388~397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기존의 두부방사선사진에서 사용되었던 계측점들을 3차원으로 재구성한 CT자료에서 다시 정의하고, 그 점들의 재현도를 조사함으로써, 재현성이 높고 해부학적 특징을 잘 표현하는 점들을 제안하고자 시행하였다. 3차원 영상에서 상대적 좌표값을 구하기 위해 어느 4점도 같은 평면에 존재하지 않는 7개의 고정점을 선정하여 기준 좌표계를 설정하였다. V works 4.0 (Cybermed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고정점과 Ⅰ점 설정을 위한 volume model (voxel size=4*4*2, threshold value = 639)을 형성한 후 계측점을 선택하였으며, 나머지 점들은 모두 volume mode의 MPR 창을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한 계측점을 V surgery(Cybermed Inc., Seoul Korea)로 이출하여 각 점의 상대적 공간 좌표값을 구하였다. 모든 자료는 2주 간격으로 2번 측정한 후 재현도를 계산하였다. 각 계측점의 재현도는 x축 0.13~1.24mm. y축 0.23~1.53mm, z축 0.15~1.81mm로 유사한 범위를 보였다. 재현도가 우수한 것은 고정점을 이용한 I점이며 봉합에 의해 정의되는 J점의 재현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define the cephalometric landmarks in three-dimensional (3D) images, which are used in orthodontic cephalometric radiography, an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each landmark for 3D cephalometric analysis. Eighteen CT scans were taken at th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manipulated with V works 4.0(Cybermed Inc., Seoul, Korea). The coordinate system was established using 7 reference points, with no more than 4 points on the same plane. These 7 points were generated as a volume model, the voxel size of which was 4 by 4 by 2 (threshold value=639). The cephalometric landmarks were selected at the multiplanar reformation (MPR) window on the volume mode of V works 4.0. The selected landmarks were exported to V surgery (Cybermed Inc., Seoul, Korea) for the calculation of coordinate values. All the data were taken twice with a lapse of 2 weeks by one investigator. The reproducibility of each landmark was 0.17~1.21 mm in the x axis, 0.30~1.53 mm in the y axis, and 0.27~1.81 mm in the z axis. In all three axes, the range of error was similar. These error ranges were acceptable with regards to the pixel space and slice thickness. The most reproducible points were I points which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volume model. The least reproducible points were J points that were defined by sutur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우(Jae-Woo Park),김남국(Nam-Kug Kim),장영일(Young-Il Chang). (2005).3차원 두부영상의 기준좌표계 설정을 위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5 (5), 388-397

MLA

박재우(Jae-Woo Park),김남국(Nam-Kug Kim),장영일(Young-Il Chang). "3차원 두부영상의 기준좌표계 설정을 위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5.5(2005): 388-3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