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과 측모 사진 분석의 비교

이용수 11

영문명
Comparison of analysis of the lateral cephalogram and analysis of lateral facial photograph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임성훈(Sung-Hoon Lim) 조주영(Ju-Young Cho) 최갑림(Gab-Lim Choi) 김광원(Kwang-Won Kim)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36권 제1호, 74~83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2.27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래 전부터 교정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시 골격 및 치열 관계와 안모를 분석하기 위한 필수적인 진단 자료로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심미적인 측면이 강조되면서 좀 더 정량화된 연조직 분석법이 필요하게 되었고 좀 더 사실적인 연조직 측모를 얻기 위해서는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보다는 측모 사진이 더 유용할 것이다. 아직까지 측모 사진을 계측, 분석하는 경우는 드물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측모 사진의 계측 분석을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과 비교해 봄으로써 연조직과 경조직 분석이 서로 상관관계를 갖는지를 알아보고 그 대체 가능성을 시험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계측치인 ANB를 기준으로 Ⅰ급 부정교합(0°~4°) 32명, Ⅱ급 부정교합(4° ≤) 32명, Ⅲ급 부정교합(5°~0°) 31명을 선정하였다. 각 피험자들의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측모 사진을 각각 촬영하여 수평적, 수직적 계측 항목을 설정한 후 각 계측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표준화 변수 Z를 이용한 t-test와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에서 세 그룹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계측치들이 측모 사진에서도 유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측모사진은 Sn-N‚-Pg‚은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에서 상,하악골의 전후방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ANB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측모 사진의 N‚-Sn/Sn-Pg‚은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NA/APg (ficial convexity)을, 그리고 측모 사진의 N‚-Tra-Me‚는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FH-MP (mandibular plane)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Alalysis of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cephalogram) has been used routinely to evaluate skeletal and dental relationships, but alalysis of the lateral facial photograph has not been used frequently for evaluation of skeletal relationships. As concerns about harm of X-ray irradiation increases, this study was plann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analysis of the lateral cephalogram with analysis of the lateral facial photograph by comparing these two analysis. According to the ANB values from cephalometric analysi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ClassⅠmalocclusion group (n = 32). Class Ⅱ malocclusion group (n = 32), and Class Ⅲ malocclusion group (n = 31). After measurements of angles indicating horizontal and vertical relationships of the maxilla and mandible on the lateral cephalograms and photographs, differences between ClassⅠ,Ⅱ and Ⅲ groups were evaluated. To evaluate the similarity between two similar values in the cephalograms and photographs, t-test using standardized variable Z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the Class Ⅰmalocclusion group. The results show that 1) SnN‚Pg‚ on the photograph can be used to evaluate the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the maxilla and mandible (ANB), 2) N‚-Sn/Sn-Pg‚ on the photograph can be used to evaluate facial convexity (NA/APg), 3) Sn-Tra-Me‚ on the photograph can be used as a measurement similar to FMA, In conclusion, partly substituting lateral cephalogram analysis with lateral facial photograph analysis was possible in the evaluation of the maxilla and mandibl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성훈(Sung-Hoon Lim),조주영(Ju-Young Cho),최갑림(Gab-Lim Choi),김광원(Kwang-Won Kim). (2006).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과 측모 사진 분석의 비교.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6 (1), 74-83

MLA

임성훈(Sung-Hoon Lim),조주영(Ju-Young Cho),최갑림(Gab-Lim Choi),김광원(Kwang-Won Kim).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과 측모 사진 분석의 비교."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6.1(2006): 74-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