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인과 일본인 부정교합자의 하악 치열궁 헝태 비교

이용수 29

영문명
Comparison of arch form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이채형(Chae-Hyung Lee) 모성서(Sung-Seo Mo) 강윤구(Yoon-Goo Kang) Kunihiko Nojima 김영호(Young-Ho Kim) 국윤아(Yoon-A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37권 제5호, 364~375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과 일본인의 Angle씨 I급, II급,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하악치열궁의 크기와 형태적 특성을 상호 비교 분석하는데 있었다. 한국인의 부정교합자 368명(I급 114명, II급 119명, III급 135명)과 일본인의 부정교합자 160명(I급 60명, II급 50명, III급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전 하악 치열 모형을 복사한 사진에서 13개의 인접한 접촉면에서 가장 협측에 위치한 점들을 좌표치화한 후 하악 치아의 두께 자료에 근거하여 임상 브라켓 점들을 설정하였고 4개의 선 계측과 이들을 이용하여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각 부정교합군에서 측정 항목들에 관하여 t-test를 하였고 치열궁 형태를 square, ovoid, tapered 의 3가지로 분류한 후 분포 특성에 관하여 카이제곱 검정하였다. 그 결과 I급과 II급 부정교합군에서 일본 여성의 하악 치열궁 폭경이 일본남성, 한국 남성 및 한국 여성에 비해 작았으며, III급 부정교합군의 하악 치열궁 크기는 인종이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모든 부정교합군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대부분이 square와 ovoid한 치열궁 형태를 가졌으며 II급 부정교합군에서는 일본인은 ovoid 형태가 52.%으로 가장 많고 한국인은 square 형태가 40%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rch dimensions and frequency distribution of arch form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 groups.
Methods:The sample consisted of 368 Korean cases (114 Class I, 119 Class II, and 135 Class III malocclusion) and 160 Japanese cases (60 Class I, 50 Class II, and 50 Class III malocclusion). The most facial portion of 13 proximal contact areas was digitized from photocopied images of the mandibular dental arches. Clinical bracket slot points were calculated for each tooth based on mandibular tooth thickness data. Four linear and two proportional measurements were taken. Measurements are statistically analyzed in each malocclusion group. The dental arches were classified into square, ovoid, and tapered forms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frequency distributions between the two ethnic groups.
Results: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Japanese females in Class I and II group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arrower mandibular dental arch width compared with the Japanese males, Korean males and Korean females. But in the Class III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ndibular dental arch size according to the two ethnic groups and genders.
Conclusions: The majority of Koreans and Japanese in all the malocclusion groups exhibited square and ovoid arch forms. The most frequent arch forms found in Koreans was square but ovoid for Japanes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채형(Chae-Hyung Lee),모성서(Sung-Seo Mo),강윤구(Yoon-Goo Kang),Kunihiko Nojima,김영호(Young-Ho Kim),국윤아(Yoon-A. (2007).한국인과 일본인 부정교합자의 하악 치열궁 헝태 비교.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7 (5), 364-375

MLA

이채형(Chae-Hyung Lee),모성서(Sung-Seo Mo),강윤구(Yoon-Goo Kang),Kunihiko Nojima,김영호(Young-Ho Kim),국윤아(Yoon-A. "한국인과 일본인 부정교합자의 하악 치열궁 헝태 비교."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7.5(2007): 364-3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