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에서의 수평적, 수직적 안면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 두께의 비교

이용수 2

영문명
Comparison of mandibular anterior alveolar bone thickness in different facial skeletal types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김윤수(Yoon-Soo Kim) 차정열(Jung-Yul Cha) 유형석(Hyung-Seog Yu) 황충주(Chung-Ju Hwang)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40권 제5호, 314~324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안면골의 수평적, 수직적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순설측 두께를 하악 전치 치축을 기준으로 계측하고, 하악 이부 치조골의 단면적을 비교해 형태학적 차이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20세 이상 성인 환자들의 초진 시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사용하여, 수평적, 수직적 분류 기준에 따라 9군으로 분류하여 무작위로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씩, 총 270명을 추출하였다. 수평적 골격 형태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ANB 각도가 사용되었으며, 수직적 골격 형태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하악평면각(SN-MP 각도)을 사용하였다.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에서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협설측 두께와 하악 이부 치조골의 단면적을 계측하여 형태학적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연구 결과로 high angle group은 low angle group과 average group에 비해 CEJ 하방 2 mm 부위 아래의 협설측 치조골과 모든 부위의 설측 치조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얇은 두께를 보였으며 (p < 0.05), low angle group과 average group 중에서 Class I, II group은 모든 부위에서 Class I average group에 비해 유사하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두꺼운 치조골 두께를 보였다 (p < 0.05). Average group 내에서 Class III group은 Class I, II group에 비해 치근 중간 부위의 협설측과 설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얇은 치조골 두께를 보였으며 (p < 0.05), high angle group 중에서도 특히 Class III인 high angle group에서 더 얇은 평균 치조골 두께를 보였다. 수직적 안면 골격 형태에 따라 하악 이부 치조골의 단면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이상의 결과에서 성인의 교정 치료 시 Class III이면서도 high angle을 보이는 환자에서는 하악 전치부에서 얇은 치조골 두께를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하악 전치의 위치를 결정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differences of mandibular anterior alveolar bone thickness and symphysial cross sectional area in 9 different horizontal and vertical facial types. Methods: By using the initial cephalometric radiographs of 270 adult patients (male 135, female 135), the authors measured the buccolingual thickness of anterior alveolar bone on the basis of the root axis and symphysial cross sectional distance. Results: The high ang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thinner buccolingual alveolar bone width except for the CEJ area and lingual alveolar bone width (p < 0.05). The low angle group and Class I, II average group showed similar or significantly thicker alveolar bone width than the Class I average group (p < 0.05). The Class III average group showed significantly thinner buccolingual and lingual alveolar bone width than Class I and II average groups (p < 0.05). The Class III high angle group showed minimal alveolar bone width in all facial skeletal typ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ymphysial cross sectional area of the different vertical facial skeletal types (p > 0.0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Class III high angle patients have thinner mandibular anterior alveolar bone thickness; therefore, more attention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incisor position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for this group of pati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수(Yoon-Soo Kim),차정열(Jung-Yul Cha),유형석(Hyung-Seog Yu),황충주(Chung-Ju Hwang). (2010).성인에서의 수평적, 수직적 안면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 두께의 비교.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40 (5), 314-324

MLA

김윤수(Yoon-Soo Kim),차정열(Jung-Yul Cha),유형석(Hyung-Seog Yu),황충주(Chung-Ju Hwang). "성인에서의 수평적, 수직적 안면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 두께의 비교."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40.5(2010): 314-3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