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구개부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사진과 3D model의 골두께 비교
이용수 2
- 영문명
- Comparison of palatal bone thickness between 3D model an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 발행기관
- 대한치과교정학회
- 저자명
- 장민국(Min-Guk Jang) 이진우(Jin-Woo Lee) 차경석(Kyung-Suk Cha) 정동화(Dong-Hwa Chung) 이상민(Sang-Min Lee)
- 간행물 정보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41권 제5호, 312~323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일한 환자에서 촬영한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사진과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을 비교하여 미니 임플랜트 식립 시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을 통해 상악 구개부 골두께를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안모가 양호한 정상교합자 남녀 총 30명의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을 3D model로 변환하고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사진과 동일부위의 골두께를 계측하기 위하여 프랑크프루트 평면에 대해 수직이고 상악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인접면을 지나는 기준평면을 설정한다. 3D model에서 횡적으로 2 mm 간격으로 11개 부위의 구개부 골두께를 계측하고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사진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3D model에서 골두께는 남녀 모두 정중구개부위에서 가장 컸고 측방으로 멀어질수록 작아지다가 남성는 측방 6 mm 여성는 측방 8 mm 부위에서 가장 최소값을 보인 후 다시 커지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상 골두께는 남성이 4.21 ± 1.03 mm, 여성은 2.71 ± 1.62 mm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성 있게 컸다.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사진상 골두께와 3D model에서 횡적인 부위별로 측정한 골두께는 남성은 정중구개부와 측방 2 mm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성은 모든 부위에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사진상 골두께와 3D model에서 상관관계를 보이는 부위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상의 횡적인 부위별 회귀분석을 통해 미니 임플랜트 식립 시 안전한 스크류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골두께 예측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compared the bone thickness of the palate between lateral cephalogram and 3D model measurement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30 adults (15 men,15 women) with a normal skeletal pattern and occlusion. The CT images were transformed to a 3D model, and were compared with the cephalometric image.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variable were calculated. Results: In the 3D CT model, the mid-palatal area was the thickest part. It became thinner as the palate tapered laterally. In the male group, the thinnest portion was positioned 6 mm away from the mid-palate, while in the female group the thinnest portion was 8mm away from the mid-palat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ateral cephalometric and 3D CT model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 except in the mid palatal area and the area 2 mm lateral to the mid-palate in men, wherea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every area in the women. In both men and women, the highest correlation appeared in the area 8 mm lateral to the mid palate. Conclusions: Using regression analysis, an actual prediction of the bone thickness between the measured bone thickness of th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and 3D model was made. Thi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mini-implant length selection when inserting into the palat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effects of different pilot-drilling methods on the mechanical stability of a mini-implant system at placement and removal: a preliminary study
- Lingual sliding mechanics의 lever arm 효과에 대한 유한요소분석
- 성인 구개부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사진과 3D model의 골두께 비교
- 치과 내원 환자의 치아 이상(dental anomaly)에 관한 연구
- Histologic assessment of the biological effects after speedy surgical orthodontics in a beagle animal model
- 브라켓의 수직적 변위에 따른 마찰이 NiTi wire의 힘과 모멘트에 미치는 영향
- Correction of a maxillary canine-first premolar transposition using mini-implant anchorage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Quality of 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and Hospital Repeat and Referral Intentions, Influence Facto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Centered at the D Region Superior General Hospital
-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Dependence and Sleep Quality: Mediating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nxiety
- Comparative Analysis of Sociodemographic and Health Indicators in Normal, Prediabetes, and Diabetes Groups: Insights from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