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용수 157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a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이차숙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14권 제2호, 83~10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1.0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고는 문헌 연구 방법으로 아직 초보 단계에 있는 우리 나라의 유아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논하고,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건전한 방향 설정을 위하여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적 정의를 통하여 유아 미디어 교육의 목표 설정과 교육 내용 도출을 시도해 보았다. 미디어 교육의 방법은 활동 중심, 경험 중심, 과정 중심, 탐구 중심, 통합 중심의 교수?학습 활동이어야 할 것과 평가는 설정된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평가의 기준 설정이 먼저 이루어지고 그런 기준들의 성취 정도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 연령별, 매체별로 타당하고 신뢰로운 평가도구를 개발해야 할 것을 강조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rgued that young children should be taught to media literacy for living in a new age of media. It is also emphasized that we should no longer view the task of media education as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unwanted messages. but as helping young children become competent, critical and literate in all media forms so that they control the interpretation of what they see or hear, namely media literacy. For fostering of these abilities, we should know that what children need to know and do about the media. And then, we can provide them a sound framework of curriculum for media education. For this, this paper first derived four big objectives of media education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definition of media literacy and identified various teaching elements for achieving them. Concerned about the approach to media education, it is asserted that it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n add-on to the already crowded curriculum. Media literacy should be conceived as a means of facilitating the integration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esthetics, the study of value messages, and the study of the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media texts. Media education should permeate many activities in language arts, social science, and arts which will be conditioned by the mass media experiences young children bring to the classroom. Therefor, the curriculum of media education should be integrative, inquiry, experiential model. To build clear conceptual framework of curriculum, we should show that our assessment is strong and reliable assessment. Good assessment assesses what the course teaches, not something else. So our way of assessing support the way we prefer to teach. Therefore, there is a assertion that we first make clear the standards for media education and develop the instruments for good assessme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차숙. (2002).유아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교육방법연구, 14 (2), 83-102

MLA

이차숙. "유아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교육방법연구, 14.2(2002): 83-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