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빈곤, ‘공부’ 그리고 학교: 빈곤층 중학생의 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682

영문명
Poverty, ‘study’ and school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이혜정,박진아,남미자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7권 제2호, 101~14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새로운 빈곤의 시대 빈곤층 학생들의 빈곤 경험과 ‘공부’ 경험 분석을 통해 이 학생들에게 ‘공부’는 어떤 의미인지, 학교교육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밝혀보고자 했다. 학생들의 입장에서 빈곤과 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위주의 질 적 연구방법을 활용했다. 질적 자료의 분석 결과 첫째, 이 학생들의 빈곤 경험은 전방위적이고 일상적이며 경제적 결핍으로 인한 불편함 이상임을 알 수 있었다. 학생 개개인의 맥락에 따라, 특히 성별에 따 라 그 경험이 이질적이라는 점 또한 발견했다. 둘째, 이 학생들은 ‘공부’에 대해 무기력하거 나 ‘공부’를 포기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수업 내용이 이해되지 않고 교사로부터 부정 적인 피드백을 받아도 교실과 수업에서 이탈하지 않는 것은 이 학생들이 공부에 대해 ‘구심 력’을 갖고 있다는 증거다. 셋째, 이 학생들은 ‘공부’를 하고자 하지만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알지 못한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수업의 방식과 내용이 이 학생들에게는 낯설고 불친절했 으며 방과후 보충학습 프로그램도 개별적 학습 지원은 하지 않아 학생들은 수업 이해의 어 려움을 겪고 있었다. 넷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무엇인가를 배우고 깨닫고 있었다. 이러한 ‘배움’ 경험은 직업 지위 획득을 위한 신자유주의적 자기계발과는 거 리가 있지만, 학생들의 주체성과 능동성을 보여주기에는 부족함이 없다. 학교의 수업이 이 학생들을 의도적으로 배제하지는 않지만, 빈곤층 학생들은 학교 ‘공부’ 를 통해 의미 있는 배움을 경험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빈곤층 학생들은 ‘공부’를 포기하지 않고 나름의 방식으로 끊임없이 ‘공부’하기를 시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적으로 대표되 는, ‘공부’ 결과 중심의 학교교육은 이 학생들에게 적절한 학습 지원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 다. 빈곤층 학생들에게 학교는 거의 유일한 학습 공간이지만 그 곳에서 학생들은 부정적인 ‘공부’ 경험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상황은 빈곤층을 비롯한 소외 집단 학생들에게 학업성취 중심의 학교교육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시사 하는 바가 크다. 더불어 이는 공교육의 공공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게 만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poverty, ‘study’ and the role of school though the experience of the study and poverty of the poor students.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 of poverty and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we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students' experience of poverty was omnidirectional discomfort due to everyday and economic deficits. And the experience was heterogeneous, depending on the context of each student, and especially by gender. Second, these students were not lethargy in school and never gave up studying. They did not derail from the school even though they did not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class and the negative feedback from the teacher. This is evidence that these students have 'centripetal' skills in their studies. Third, these students wanted to study but did not know what to do. Because the method and the level of contents of the class are not adapted to them, it is difficult for them to understand the contents. Also the after-school supplementary learning programs do not support individual learning. Fourth, nonetheless, students were learning and studying something in their life. These learning experiences are far from neoliberal self-development for obtaining high occupational status, but they were sufficient to show students' identity and activity. Although the curriculum do not intentionally exclude these students in classroom, it is difficult for poor students to experience meaningful learning through ‘study’ in the school. The school-centered education do not support the appropriate methods to the poor students despite the fact that they try to ‘study’ constantly with their own efforts. the school is almost the only learning space for the poor students, but where students are likely to experience the negative ‘studying’ experiences. This situation says the something impor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정,박진아,남미자. (2017).빈곤, ‘공부’ 그리고 학교: 빈곤층 중학생의 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7 (2), 101-140

MLA

이혜정,박진아,남미자. "빈곤, ‘공부’ 그리고 학교: 빈곤층 중학생의 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7.2(2017): 101-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