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교육에서의 젠더 평등과 공평 ― 여성 연구에 대한 개념 확장의 필요성 ―

이용수 444

영문명
Gender Equality and Equity in South Korean Education: A Proposal for Conceptual Changes in Women's Studies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허창수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14권 제2호, 219~24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1.0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비 대표성(under-representation)은 오랜 동안 당연시 되어 왔다. 이러한 비 대표 성을 없애기 위하여 사회적 제도 및 정책은 같은 기회를 주는 평등(equality)이라는 원리 아래 문제점을 제거하려 노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비 대표성은 현재까지 유지, 재생산되어 왔다. 주목해야 할 것은 여성의 비 대표성 유지를 위한 고정 관념(stereotype)의 실행과 사회화의 재생산에 학교교육이라 는 헤게모니가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는 것이다. 학교교육은 남성 중심 사회의 이데올로기 전수 및 재생 산을 돕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해왔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한국 사회에서 남여 상하구조를 평등(equality)에 서 공평(equity)이라는 개념의 확장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지배적인 생물학적 양성의 분류를 사회 적 상호 관계에 의해 형성되는 여, 남성성에 의한 젠더라는 개념의 확장을 통해 분석하려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하기 위해, 이 연구는 질적 연구를 이용하였으며, 네 명의 참여자들과 함께 면담기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다중 사례 연구에서 효율적으로 이용되는 개별 사례 분석과 사례들 의 상호 관련 분석을 통해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참여자들의 젠더 공평성에 대한 좁은 인식과 이해를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결국 우리 한국 사회에서의 젠더 공평성에 대한 현주소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학교에서는 잠재적인 교육과정(hidden curriculum)을 통해 젠더의 차별 교육 및 학교 활동이 이루어 짐을 보여주었으며, 그 중앙에는 선생님의 역할이 크게 강조 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결과로부터 폭넓 은 젠더 공평성의 이해를 통해 남성 중심의 현 사회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주장하였으며, 더 나아가 보다 미시적인 시각에서 여성성과 남성성의 관계를 통해 사회구조를 바라볼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미래의 연구를 위해 보다 많은 참여자들을 교육적인 차원에서 참가 시킬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Women’s under-represent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has been taken for granted for years. Koreans make an effort to abandon this under-representation through social policies and actions in the sense of equality, but this under-representation has been kept perpetuating and reproducing in South Korean society. In this reproduction procedure where Koreans practice gendered stereotypes, schooling, as a hegemony, plays an important role. In other words, schooling helps to perpetuate and reproduce man-centered ideologies to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s gendered social hierarchies with the conceptional expansion from the notion of equality to the notion of equity.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gender equity, which is constructed from social relations between man and woman rather than current dominated biological deterministic sex. This study, as a qualitative research, collected data through interviews with four participants. For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utilizes case analysis and cross-cases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articipants have a narrow conceptual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s of gender equity, and this implies that the narrow understanding is based on the reflection of current Koreans'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s on gender equity. Moreover, in school context, hidden curriculum plays an important role of perpetuating gendered stereotypes and practices, and teachers' roles are considered importantly for this transfer. With tho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for understanding women’s under-represent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Koreans' conceptual aspects should be more expanded toward understanding the notion of gender equity, and this study emphasizes on micro aspects of looking at social structures in relations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Furthermore, for the future studies, as an educative purpose, this study strongly suggests women's participations in women's studi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창수. (2004).한국 교육에서의 젠더 평등과 공평 ― 여성 연구에 대한 개념 확장의 필요성 ―. 교육사회학연구, 14 (2), 219-246

MLA

허창수. "한국 교육에서의 젠더 평등과 공평 ― 여성 연구에 대한 개념 확장의 필요성 ―." 교육사회학연구, 14.2(2004): 219-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