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본 초등학교에서의 교육실습 경험의 의미 탐색

이용수 134

영문명
An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Student Teaching Experience in Primary School Within a Social and Cultural Context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오정란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13권 제3호, 167~19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1.0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교생들의 수업실습경험을 사회문화적 맥락과 관련하여 교생들이 교육실습을 어떤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로 무엇을 경험하고 배우고 있는가, 그리고 교생들이 수업실습 현실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어떻게 수용하고 내면화하는가를 중심으로 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결과, 교생들은 일종의 도제식 실습과정에서 적응하고 생존하기 위해서 그들에게 주어진 교실중심의 일상적 직무수행능력을 훈련하는 것에 지배적인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대부분의 교생들은 학교 중심의 실습프로그램을 통하여 교실수업 중심의 절차적 지식과 기술을 훈련하는 것에서 실습의 의미를 찾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러한 실습에 대한 교생들의 제한된 의미탐색은 교육실습 과정에서 실습학교나 지도교사 중심의 훈련과 통제방식에 순응하고 내면화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교육실습을 통한 현장경험들은 기존 교실수업 중심의 교수실제들을 재생산하는 잠재적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교육실습경험을 통한 교수-학습의 실제나 실습현실에 대한 비판적 관점이나 이슈, 주제들 그리고 실습과정에 내재되어 있는 잠재적 의미들은 사회문화적 맥락과 함께 교생의 실습경험의 맥락으로 변환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student teaching experiences(STE) during teaching practicum within a broader social and cultural context.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ree questions: (1) What are the concerns and expectations of student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um? (2) What experiences do student teachers really get through student teaching? (3) How do STE relate to the internalization and reproduction of school community of practices? Data in this interpretativ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45 student teachers for 3 weeks after a 5-week student teaching practicum course in 7 elementary schools. Data were also collected through analyzing student teachers' journal and student teaching programs in 7 elementary schools for 3-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concerns of student teachers were personal survival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Second, STE was generally related to adapt school classroom routines and to train competencies such as procedural knowledges and skills through apprentice-type-programs. Third, STE induced student teachers to conform the teaching styles, images and concepts within their classroom teaching context. Lastly, STE during teaching practicum encouraged student teachers to internalize and reproduce current teaching practices of the school community.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ual factors such as classroom routines, classroom discipline and control, teaching practices of school community were transformed as central to constructing the meaning and realities of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정란. (2003).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본 초등학교에서의 교육실습 경험의 의미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3 (3), 167-190

MLA

오정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본 초등학교에서의 교육실습 경험의 의미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3.3(2003): 167-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