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물관교육 및 전시 아카이브의 현황과 활용방안

이용수 1840

영문명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the Ways of Using Museum Education Archives and Exhibition Archives
발행기관
한국박물관교육학회
저자명
오선화
간행물 정보
『박물관교육연구』제18호, 77~10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박물관에서 생성된 아카이브는 빠른 시간동안 급속하게 성장해 온 박물관의 면면과 체제, 나아가 전시와 홍보적 기능까지 포함된 전반적 과정을 다루고 있다. 박물관교육 아카이브는 소장자료를 이용한 교육은 물론, 점차 늘어나고 있는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박물관교육과 어린이전시에서 생성된 아카이브자료는 그 규모가 더욱 커지고 활용가치가 높아질 것을 인지하고 체계적 단계를 밟아나가고 있는 과정 중에 있다. 본고의 목적은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을 사례로 아카이브구축 현황을 통해 기존 박물관 아카이빙의 개념과 비교한 박물관교육아카이브와, 어린이전시에서 생성된 아카이브의 현주소를 알아본다. 나아가 앞으로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운영하는 민속아카이브가 박물관교육의 자료까지 더해졌을 때, 박물관자원의 허브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아카이브자료를 활용함에 있어서 교육과 전시 아카이브가 수집된 현황과, 정확한 자료기록을 위해 아날로그자료로를 수집하고 정리했던 사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현재 수집․보관하고 있는 박물관교육과 어린이전시 아카이브는 앞으로 어떤 영역에서 교육적가치를 형성할 수 있을지를 사례를 들어 제시하였다. 박물관 교육 분야에서 수집하는 자료들의 주요 목적은 크게 ‘교육기록체계의 보존(long-term preservation)’과 ‘관리체제의 간결함’, 그리고 ‘지속적 활용을 통한 가치의 확산(enduring/ongoing values)’으로 종합해볼 수 있다. 아카이브의 유용성에 대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먼저 생각해 볼 것은 여러 자료 중 무엇을 아카이빙 해야 할지에 대한 우선순위와 정립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며, 그 다음으로 아카이브자료의 지속적 축적이다. 현재 이관하고 있는 박물관교육 자료목록을 살펴보면 교육현장을 담은 디지털이미지가 대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에 생성된 자료는 부서 내에서 자체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다양한 활동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박물관교육 아카이브정보를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소장품․교육․전시간의 활용이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어야 한다. 박물관교육 아카이브의 잠재된 활용가치를 인식하고, 지속적 가치 확산이 고려된 자료를 생성해 간다면 박물관은 교육장소의 역할 뿐만 아니라 교육․문화 플랫폼으로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rchives created at museums encompass the overall processes including each and every aspect and systems, exhibitions, and the public relations function of museums which have made drastic growth in a short span of time. When it comes to the museum education archives, the troubles regarding the education using the collections and collecting and using the ever-increasing data are getting bigger. Therefore, the archive data formed at the children exhibitions by the museum education department are in the process of taking systematic stages after perceiving that the scale of use will become bigger over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s of the museum education archives compared with the concept of the existing museum archiving and the archives created at children exhibitions through the current conditions of archive establishment based on the Children s Museum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Moreover, this study will discuss the roles of the Center of Folklore Activities run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s the hub of the museum resources when the data of museum education have been added. For the current status of the collection of museum education archives and exhibition archives and an accurate data record when it came to using the archive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cases which collected and organized analogue data.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in which domain the children exhibition by the museum education department archive, collecting and storing data, can form educational values by providing cases. The main objectives of the data being collected in the field of museum education can be summarized into long-term preservation, conciseness of management system , and enduring and ongoing values . The things to prioritize when it comes to pushing the usefulness of archives toward a positive direction are seeking the priority and the establishment methods regarding what to archive among a number of data and constantly accumulating archive data. When referring to the list of the museum education data which are being transferred, they are mostly consisted of the digital images containing education sites and other data are being used independently within respective departments. In order to secure various uses of digital archives, the museum education archive information should be recorded systematically and the use in collections, education, and exhibitions should be managed comprehensively. When the potential value of use of the museum education archives is recognized and the data that took into account continuous value expansion are accumulated, museums can not only play the role of the site of education but also improve professionalism as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platform.

목차

Ⅰ. 서론
Ⅱ. 박물관교육 및 어린이전시 아카이브
Ⅲ. 박물관아카이브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
Ⅳ. 제언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선화. (2017).박물관교육 및 전시 아카이브의 현황과 활용방안. 박물관교육연구, (18), 77-108

MLA

오선화. "박물관교육 및 전시 아카이브의 현황과 활용방안." 박물관교육연구, .18(2017): 77-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