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물관교육 참여자의 회상을 통해 본 미적경험 연구

이용수 494

영문명
A Study on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e Retrospection of Participants in Museum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박물관교육학회
저자명
권남희
간행물 정보
『박물관교육연구』제17호, 59~8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Dewey(1934)는 의미 있는 경험은 지적이며, 지적경험을 위해서는 미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박물관은 이러한 의미 있는 경험을 만들기에 적합한 교육의 장으로, 박물관에서 미적경험이 지니는 의미를 박물관교육 참여자의 ‘회상’을 통해 분석해 봄으로써 박물관이 지니는 미적경험의 의미를 밝히고, 보다 유의미한 박물관에서의 미적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John H. Falk & Lynn D. Dierking(1992)의 맥락적학습모형(contextual model of learning)과 Noël Carroll(2006)이 분류한 미적경험 유형인 정서 지향적, 인식론적, 가치론적, 내용 지향적 경험을 적용하여 연구자가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근무하였던 A, B, C 미술관교육 참여자를 추적하여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사례 연구로 진행했다. 그 결과 박물관을 이루는 다양한 요소와 미적경험의 특질에 따라 내용을 구분하기 보다는 정서와 인지를 통해 가치를 발견해 가는 학습의 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미적경험을 완성해 가는 것이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재도 진행되고 있으며, 박물관에서의 미적경험에 대한 범주와 개념정리를 박물관교육 참여자의 회상과 평가로 찾아보고자 했던 것에 의미가 있다. 더욱이 포트폴리오를 통한 접근은 연구 참여자들이 박물관교육에 참여한지 10여년이 지난 지금에도 보관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박물관경험의 가치를 확인해 준다고 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는 교육의 평가적 측면에서도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함으로 박물관의 미적경험 강화에 있어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계획 아래, 제작하여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Dewey (1934) noted that a meaningful experience is intellectual and that an intellectual experience should hav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the concept of a museum as a place of education appropriate for making such a meaningful experience, this study would provide a more significant aesthetic experience at the museum by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museum through the ‘retrospection’ of participants in museum education. As research methods for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applying the contextual model of learning of John H. Falk & Lynn D. Dierking (1992) and the types of aesthetic experiences, including affect-oriented, epistemological, axiological and content-oriented approaches, classified by Noël Carroll (2006), tracing participants in the education in Art Museum A, B and C for which the researcher had worked from 2002 through 2006. As a result, it could be found that understanding the process as a process of learning in which they would discover values through emotion and cognition would be the completion of a more aesthetic experience, rather than classify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various elements constituting the museum and the feature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This study is ongoing, which has a significance that it would look for the categoriza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museum through the memories and evaluations of the participants in the education. Moreover, concerning the approach through a portfolio,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still keep the educational materials of the museum more than 10 years later, the values of the museum experience could be found, and those materials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in terms of the evaluation of education as well.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production of a portfolio under long-term and continuous planning for improving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museum.

목차

Ⅰ. 박물관에서 펼치다
Ⅱ. 박물관에서 미적경험은?
Ⅲ. 박물관경험을 돌아보다
Ⅳ. 포트폴리오와 함께 미적경험을 나누다
Ⅴ. 요약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남희. (2017).박물관교육 참여자의 회상을 통해 본 미적경험 연구. 박물관교육연구, (17), 59-86

MLA

권남희. "박물관교육 참여자의 회상을 통해 본 미적경험 연구." 박물관교육연구, .17(2017): 59-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