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문화자본과 교육과정 관점

이용수 143

영문명
Cultural Capital and Curriculum Perspectiv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동영(Chung Dong-young) 김성락(Kim Seong-rak)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1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문화자본과 교육과정 관점의 차이를 분 석하고, 그들의 문화자본이 교육과정 관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전국의 초등 학교에서 표집 된 특수교육 교사 92명과 일반교육 교사 84명의 문화자본과 교육과정 관점을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문화자본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 지만,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 모두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더 높은 수준의 문화자본을 보유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유사한 교육과정 관점을 지 니고 있으며, 모두 경험주의 관점을 가장 선호하나, 특수교육 교사는 일반교육 교사보다 전통적인 교육과정 관점인 항존주의와 이상주의 관점을 더욱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 교 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은 문화자본에 영향을 받는데, 이들의 교육과정 관점은 문화 활동 빈도보다 문화소양 수준에 더 많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문화자본과 교육과정 관점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지만, 이들의 교육과정 관점 은 문화자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ultural capital and curriculum perspective betwee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ir cultural capital on curriculum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cultural capital and curriculum perspective of 92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84 general education teachers sampled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no difference in cultural capital. However, female teachers had a higher level of cultural capital than male teachers in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have a similar curriculum persp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prefer experimentalism most.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emphasize perennialism and idealism more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ird, the curriculum perspectiv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s influenced by cultural capital. However, the curriculum perspectiv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s more influenced by cultural literacy than cultural activity frequency. In conclusion, cultural capital and curriculum perspectiv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don t show much difference. However, the curriculum perspectiv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s influenced by cultural capital.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동영(Chung Dong-young),김성락(Kim Seong-rak). (2018).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문화자본과 교육과정 관점.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1 (2), 1-22

MLA

정동영(Chung Dong-young),김성락(Kim Seong-rak).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문화자본과 교육과정 관점."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1.2(2018):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