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체육교사의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지도 경험

이용수 164

영문명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f Coaching School Sports Clubs Competitions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오중근
간행물 정보
『교과교육학연구』제22권 제2호, 99~11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교사의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지도 경험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J도에 소 재하고 있는 중학교 체육교사들이다.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에 열정을 보이며 2년 이상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지도 경험이 있 는 체육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면담, 참여관찰, 연구일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중학교 체육교사의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지도 경험으로는 교사의 성장(전문성 신장, 학생 변화를 통한 자부심, 두 터워지는 관계), 교사의 희생과 갈등(흔들리는 팀워크, 교사의 욕구 충돌), 대회 운영상의 아쉬움(소외되는 비인기 종목, 1회 성 경기, 미숙한 대회 운영), 교사의 기대(‘대회’에서 ‘어울림’으로, 학교스포츠클럽 지역별 리그 확대, 학교스포츠클럽 전담 기구 운영)로 범주화 되었다. 학교스포츠클럽 대회는 경쟁을 넘어 경기 자체에서의 재미와 만족, 즐거움, 추억을 만드는 스 포츠문화 체험의 장이 되어야 한다. 원활한 학교스포츠클럽 대회의 정착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운영과 다양한 참여의 기회를 부여해야 하며, 교육청의 세심한 배려와 지원이 필요하다. 학교스포츠클럽의 좋은 가치를 유지,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현 장에서 가장 가까이에 있는 체육교사들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 질 때 학교스포츠클럽 대회는 질적으로 성장하 고 더욱더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middle-school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s who have supervised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s. The target population for this research is focused on PE teachers working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province J . Five PE teachers who are enthusiatic about supervising of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and have at least 2-years of related experienc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is study.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ing, and research journal preparation were conducted as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s. The conclusions resulting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PE teachers experiences of supervising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were categorized into several sub-themes: growth through sport competitions (enhanced professionalism, self-pride as a teacher, formation of good relations), a teacher s sacrifice and conflicts (weakening teamwork, conflicts with needs of teachers), regrets involving competition management (isolation of unpopular sporting event, one-time event, poor competition management), and expectation of teachers (transformation from mere sporting competition to social gathering , expansion of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as a local sports league, operation of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School sports competions should go beyond mere competitions and be a site of sporting culture that provides fun, satiscation, pleasure, and memories. For the successful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to become more established at the middle-school level, diverse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to motivate students to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s along with stable operations thereof; in this regard, greater attention and support by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re required. In order to maintain and promote the values of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s, policy-based support should be made available to the PE teachers as they are the ones that closely interact with the students, which should in turn, ensure the development of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s.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및 논의
I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중근. (2018).중학교 체육교사의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지도 경험. 교과교육학연구, 22 (2), 99-112

MLA

오중근. "중학교 체육교사의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지도 경험." 교과교육학연구, 22.2(2018): 99-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