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高句麗 石室封土壁畵墳의 淵源에 대 하 여

이용수 304

영문명
A Derivation of Koguryo wall painting tomb with stone chamber and earthen mound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강현숙(Hyunsook Kang)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40집, 92~126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04.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구려 石室封土壁畵墳은 선행의 積石塚과는 축조방법이나 葬法에서 전혀 다른 묘제로, 규모나 벽화 장식 등 무덤 축조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었기에 피장자는 고구려의 상위 신분일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따라서 同時期상위 신분의 무덤인 계단상 석실적석총과 석실봉토벽화분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고구려 사회 지배체제 확립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석실적석총과 봉토벽화분과의 관계 규명은 석실봉토벽화분의 연원을 통한 피장자의 성격 파악을 통해서 접근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글은 석실봉토벽화분 피장자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석실봉토벽화분의 연원을 살폈다. 고구려 석실봉토벽화분은 구조에서는 樂浪전축분과 유사한 縱列配置평면이 다수를 점하나, 안악3호분이나 요동성총은 중국 石墓에서 보이는 回廊式多室구조이거나 棺室竝列配置평면이다. 한편 무덤 칸을 종렬배치하고 기둥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중국 석묘와 낙랑 전축분이 결합된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벽화는 벽면에 생활풍속 장면을, 천장에 天上世界를 묘사하여 중국 後漢代이후 벽화분과 畵面構成이나 配置에서 같은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고구려 석실봉토벽화분과 중국과 관련이 인정된다. 중국과 관련을 보이는 석실봉토벽화분이 樂浪, 帶方郡故地에 집중 분포하여 상당한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음은 고구려가 낙랑군 축출 후에도 이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하였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후 석실봉토벽화분은 무덤 구조나 벽화내용에서 중국관련의 두칸구조나 생활풍속장면 벽화내용이 차츰 약화되면서 단칸구조, 四神圖벽화로 변화하여 고구려 석실봉토벽화분의 典型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고구려가 평양 천도이후 낙랑 고지에 대한 지배력을 완전히 장악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Koguryo wall painting tomb with stone chamber and earthen mound(short named wall painting tomb)is similar to Lolang (낙랑) brick layed tomb and Chinese ancestral stone layed tomb in respect of the burial space plan and the content s of Late-Han wall painting. Especially in the point of one more chamber and the paintings of the life manner s and customs, Koguryo wall painting tomb resembled to Lolang brick layed tomb or Chinese ancestral tomb. So this assumes that Koguryo wall painting tomb was derived from Chinese Late-Han burial tradition. At Koguryo wall painting was firstly constructed at mid 4th A.D., the Capital city in Koguryo was Tonggu, Jian. There was popular stone mounded tomb called juksukchong (적석총) which has one chamber and no wall painting. So wall painting tomb is quiet different from Koguryo traditional tomb, juksukchong. Eventually this indicates that the master of two other type tombs, juksukchong and wall painting tomb, had different derivation. These wall painting tombs are generally distributed to Lolang s place, Daedong River mouse. T his assumes that the master of early large sized wall painting tomb was a leading per son who remained in Lolang or related to Chinese. So the master of wall painting tombs may have power over the place of Lolang after being expelled by Koguryo. Inspite of Koguryo wall painting tomb may have relation to Chinese burial tradition in appearance, the transition of wall painting tomb is dissimilar to Chinese tomb in burial space plan and the content s of wall painting. As gradually Koguryo holds real power over the place of Lolang, Chinese related wall painting tomb changed in direction of similar to stone mounded tomb with one chamber , suksilguksukchong (석실적석총) and decrease of life manner s and customs or no painting except deifies of four directions. Eventually at 6th A.D. Koguryo wall painting tomb which has one chamber and the paintings of deifies of four directions was distinguished from Chinese burial tradi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석실봉토벽화분 특징
1. 구조특징
2. 벽화내용
Ⅲ. 주변지역과의 비교
1. 중국 횡혈식 묘제
2. 낙랑 전축분
Ⅳ. 석실봉토벽화분의 연원
1. 석실봉토벽화분의 연원
2. 초기 석실봉토벽화분 주인공과 관련하여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현숙(Hyunsook Kang). (1999).高句麗 石室封土壁畵墳의 淵源에 대 하 여. 한국고고학보, 40 , 92-126

MLA

강현숙(Hyunsook Kang). "高句麗 石室封土壁畵墳의 淵源에 대 하 여." 한국고고학보, 40.(1999): 92-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