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음악의 기능 이론들에 대한 비교 연구

이용수 661

영문명
Comparison of the theoretical claims of musicologists Larry M. Timm, Cloudia Gorbman, and the composer Aron Coplant regarding the function of film music
발행기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저자명
이수일(Sooil Lee)
간행물 정보
『음악교육공학』제22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1.16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영화음악이 영화 내에서 가지는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 학자들의 이론적 주장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현대음악 작곡가이며 음악학자인 래리 팀의 이론적 주장들과 영화음악 이론가이었던 음악학자 클라우드 고르브만의 설명과 그리고 미국의 현대음악 작곡가 아론 코플란트가 설명하였던 다섯 가지 영화 음악의 기능에 대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영화음악은 현대에 오면서 매우 다양한 시도들과 여러 가지 변화들이 나타났다. 여러 다양한 대중음악들이 등장하게 되고 영화음악은 큰 상업적 시장이 형성되었다. 그리하여 영화산업과 음악 산업의 상업성을 함께 고려하게 된 산업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영화에서의 음악의 역할과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것들은 영화의 스토리의 진행을 함께 도와주며, 상황이나 감정을 강조하거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 그리고 내러티브와 함께 일치하는 평행적인 기술, 작곡된 음악들은 오리지널 스코어이거나 또는 소스뮤직으로서 존재하면서, 영화 전체에 하나의 통일된 연결 구조가 될 수 있도록 존재하고, 그러기 위해서 음악은 그 상황에 들리고 있으면서도 오히려 관객은 이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는 존재, 또한 무언가 배경에 채워져 있으면서 이야기의 진행과 함께 잘 일치됨으로서 무의식적인 존재로서 충분히 그 기능을 다하게 되거나, 이러한 상황을 강조하고 암시하는 존재가 되는 것이었다. 이 음악가들은 시대적 거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주 공통적인 이론들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이론적 주장들에 대하여 영화에서의 사례와 함께 서로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다른 학자들의 주장과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 바그너와의 공통점까지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mpares critical arguments from various musicologists regarding the effects and functions of film music in cinema.It differentiates between Gorbman’s relatively contemporary film music theories, the modern musicologist Larry Timm’s insistence, and the five functions of film music stated by American composer Aron Coplant. As we entered the modern era, film music has gone through a variety of experimentations, and resulted in numerous changes and versatility. Wide selections of popular music were introduced and a vast commercial market for music was formed. Thus, it has evolved into an industry where various potential for business exists and is emphasized. A few of the most important roles and functions of music are that it aids in the progression of the story, accentuates or explicates its situation or sentiment, emulates the narrative through the parallelism method, and serves as a cohesive piece through the original score or source music. In order to serve its purpose, although music exists and is heard, the listener must not be cognizant of it; music must fill the background and work in unison with the narrative without being audible. Despite the generational gap of the two musicologists and the composer, all of them present uniform theories. This thesis will further explore these propositions using various examples from mov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영화 음악의 기능 이론들에 대한 고찰과 비교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일(Sooil Lee). (2015).영화음악의 기능 이론들에 대한 비교 연구. 음악교육공학, (22), 1-22

MLA

이수일(Sooil Lee). "영화음악의 기능 이론들에 대한 비교 연구." 음악교육공학, .22(2015):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