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환락과 환멸 : 1930년대 만요와 재즈송에 나타난 도시의 ‘낯선’ 형상
이용수 19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박애경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29집, 139~16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30년대는 근대적 도시문화가 성숙해가면서 서구적 감성과 소비문화가 본격적으로 나
타난 시기로 꼽힌다. 1930년대 들어 본격적인 전성기를 맞이한 한국 대중가요계는 새롭게
대면하는 도시의 문물과 세태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면서 도시 하위문화의 중심으로 부상하
게 되었다. 전통문화에 대한 취향이 남아있는 가운데 새로운 양식과 기술이 이입되어 형성
된 1930년대 대중가요에는 모던과 전통, 익숙한 것과 낯선 것, 지배와 일탈이 복잡하게 교
차한 흔적이 남아있다.
이 글에서는 식민지라는 왜곡된 경험을 통해 전통과 일정 부분 단절한 채, 도시화의 세례를
받아야 했던 1930년대 도시 문화의 명과 암을 만요와 재즈송이라는 대중가요의 하위 장르를
통해 살펴 보았다. 재즈송과 그 음악적 원천인 재즈는 모던보이와 모던걸의 송가였고, 만요는
어지러운 도시생활과 세태, 그 이면을 ‘웃음’ 속에 담아낸 장르인 만큼, 이전 시기까지 대중가
요에서 통용되던 관습의 틀을 넘어서는 ‘낯선’ 면모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낯선 모습이 재즈송에서는 이국문물에 대한 동경과 밤의 향락으로 나타난다면,
만요에서는 도시의 세태와 좌충우돌하는 군상들의 적나라한 묘사를 통해 그려지고 있다.
이처럼 재즈송과 만요는 도시문화라는 동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였지만 전자가 일탈적 욕
망을 도시의 환락과 쾌락으로 표현한다면 후자는 그 이면의 환멸과 비애를 역설적 웃음을
통해 반추해 낸다고 할 수 있다. 재즈송과 만요는 이처럼 일견 역사적 일상에서 분리된 듯 보이는 낯선 형상을 통해, 역설적으로 식민지 하의 우울한 청춘들의 자화상을 반추해내는 기제로 작동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는 말-1930년대 대중가요의 중층성과 ‘낯선’ 형상들
2. 재즈송, 만요의 부상과 도시문화
3. 청춘의 환희와 모던의 비애
4. 나오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삼국유사 설화 자원의 문화 콘텐츠화 길찾기
- 무가 연행의 핵심 주체, 돈 : 서울굿을 중심으로
- ‘원형 개념’으로서의 변신에 내재되어 있는 세 가지 특성과 변신 미학
- 여성의 살아온 이야기에 담긴 파격의 상상력
- 제주도 서사무가 <지장본풀이>의 특수성 연구 : 서사와 제의적 맥락의 관계를 중심으로
- 좌방확장·첨가적층형 구비시가의 노랫말 구성 방식 연구 : 고려가요 <청산별곡(靑山別曲)>을 중심으로
- 부자 이야기의 주제와 민중적 상상력
- 구전설화에 나타난 ‘파격’ : 가족관계에서 ‘갈등’의 발생 상황과 해결 과정을 중심으로
- 중국신화에서의 파격적 상상력 : 곤우(鯀禹) 신화와 저인(氐人) 신화를 중심으로
- 구비설화 다시쓰기와 새로운 상상력
- 환락과 환멸 : 1930년대 만요와 재즈송에 나타난 도시의 ‘낯선’ 형상
- 마을 성격에 따른 인물전설의 변이와 지역담론의 창출 : 안동지역 서애 류성룡 관련 설화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