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정상발달아동과 어휘발달지연아동의 의미 체계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Semantic Organization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ith and without Vocabulary-Delay.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남서현(Seohyun Nam) 임동선(Dongsun Yim)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99호, 91~12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단어 관계 식별 과제(Word Association Identification Task; WAID, Kan et al., 2024)와 단어 연상 과제(Word Association Task; WAT, Kan et al., 2024)를 이용하여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정상발달아동과 어휘발달지연아동의 의미 체계(semantic organization)를 비교하고, 각 과제별 수행력과 아동의 언어발달 및 이중언어 사용환경과 관련된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3-7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정상발달아동 14명과 어휘발달지연아동 7명으로 총 21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단어 관계 식별 과제(WAID)와 단어 연상 과제(WAT)를 수행하였으며, 각 아동의 부모로부터 부모 보고형 아동 언어 능력 평가도구(Korean Brief Parent Report; KBPR, 한지윤 & 임동선, 2018)와 이중언어 사용 환경 설문지(Bilingual Input Output Survey; BIOS, Yim, in Press) 응답을 받았다. 연구 결과, 첫째, 어휘발달지연아동 집단은 정상발달아동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단어 식별 과제 명사 문항 DR 조건 정반응률, 동사 문항 전체 정반응률, 동사 난이도 하 정반응률을 나타냈다. 둘째, 어휘발달지연아동 집단은 정상발달아동 집단와 비교하여 전체 명사 정반응률, 한국어 명사 단어 정반응률, 전체 동사 정반응률, 영어 동사 단어 정반응률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이 나타났다. 셋째, 이중언어 정상발달아동 집단의 단어 식별 과제 명사 문항 정반응률과 KBPR 변인인 (c)활동패턴 및 활동 선호도 점수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중언어 어휘발달지연아동 집단의 단어 연상 과제 전체 정반응률과 한국어 노출 비율 간, 영어 노출 비율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단어 연상 과제 명사 정반응률과 한국어 노출 비율 간, 영어 노출 비율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이중언어 아동의 의미 지식 체계를 이해하고, 어휘발달지연아동이 정상발달아동에 비해 단어 관계 식별 과제 수행력과 단어 연상 과제 수행력에 어려움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언어의 상호작용을 경험하는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별 사용 비율 및 노출 비율과 단어 식별 과제, 단어 연상과제 수행력과의 상관관계를 밝혀 임상 현장에서 이중언어 어휘발달지연 아동에게 개별화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가진다.
영문 초록
The semantic system of bilingual children involves a complex process of storing, accessing, and organizing word meanings and concepts in two languages(Babatsouli &Ball, 20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exist in the performance of typically developing(TD) bilingual children and vocabulary-delayed(VD) bilingual children on word association identification tasks(WAID) and word association tasks(WAT). Furthermore, it also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between task performance and variables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and bilingual exposure environments. A total of 21 participants, aged 3 to 7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14 TD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nd 7 VD bilingual children. Participants completed the WAID and WAT, while their parents completed the Korean Brief Parent Report(KBPR; Han&Yim, 2018) and the Bilingual Input Output Survey (BIOS; Yim, in press). As a result, the VD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rates on noun items under the Distractor Related to the Target (DR) condition in WAID compared to the TD group. For verb items, the VD group also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overall accuracy rates, especially for lower-difficulty items. In the WAT, the V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rates for noun items overall, including Korean noun items, compared to the TD group. Similarly, the VD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rates for verb items, including overall accuracy and English verb accuracy. In the TD group,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noun accuracy rates in the WAID and the KBPR variable (c) activity patterns and preferences. In the VD group,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overall WAT accuracy rates and Korean/English input proportions. Additionally, noun accuracy rates in the WA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Korean/English output proportions. This research provides a foundation for offering individualized support to VD bilingual children in clinical setting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중언어학 제99호 목차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피드백을 위한 맞춤형 ChatGPT 설계 연구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정상발달아동과 어휘발달지연아동의 의미 체계 비교
- 관형격 조사 ‘의’의 한·중·일 대조 연구 -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 ‘중국식 현대화’ 관련 주요 용어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한국인의 이해와 수용 연구 - 20대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보조동사 구성 '남겨 놓-'과 '남겨 두-'의 사용 양상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고빈도 동사 표현 실패 원인 분석
-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어 불안과 기대·가치·비용 양상 연구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중국어판)』와 『조선어(류학생용)』의 문법 항목 비교
- 한국어 학습자로 구성된 학습 커뮤니티의 지속 이용 의도 분석 연구 - 레딧의 r/korean 커뮤니티 사례 연구
- 교환학생 초급 학습자의 문화 적응 및 학습 동기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능력 비교
- 한국어 말하기 채점 자질로서의 어휘 다양도 연구
- 초등학교와 이주배경가정 학부모의 소통증진을 위한 가정통신문 어휘 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법 적용
- KSL 학습자의 교과서 텍스트 적응을 위한 한국어 읽기 자료의 현장 요구와 AI 활용 읽기 보조 자료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
- 예비 한국어 교원의 교수 불안감 분석 -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중국 북경 지역 4년제 대학 학제적 한국어 전공의 교육과정 분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