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16 부활절』을 통해 본 예이츠의 민족과 스피노자의 공동체

이용수 0

영문명
Yeats’s Nation and Spinoza’s Community: “Easter, 1916”
발행기관
한국예이츠학회
저자명
김다(Dah Kim)
간행물 정보
『한국 예이츠 저널』41권, 227~25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예이츠는 분열된 아일랜드의 통합을 바랐다. 아일랜드가 종교와 종족, 문화를 아우르는 하나의 공동체가 될 수 있다고 믿었으며, 공동체 내에서 아일랜드의 분열된 계층과 문화를 통합하면서도 고유한 특징을 간직하기를 바랐다. 이러한 바람은 1916년에 발생한 부활절 봉기를 겪으며 확실해지고, 더욱 간절해졌다. 예이츠는 그러한 자기 생각을 「1916 부활절」시에 담았다. 시에 드러난 예이츠의 민족 공동체에 대한 생각은 스피노자의 공동체 개념과 만나 그 의미가 명확해진다.

영문 초록

Yeats wanted his divided nation to be united. He believed there would be a united community embracing people with a wide range of different religions, nationalities, and culture while preserving their specific features. After the Rebellion of Easter in 1916, Yeats saw the possibility of such a community and he wrote a poem, “Easter, 1916.” This poem shows his thought about community, which becomes obvious with Spinoza’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다(Dah Kim). (2013).『1916 부활절』을 통해 본 예이츠의 민족과 스피노자의 공동체. 한국 예이츠 저널, (), 227-250

MLA

김다(Dah Kim). "『1916 부활절』을 통해 본 예이츠의 민족과 스피노자의 공동체." 한국 예이츠 저널, (2013): 227-2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