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미동맹과 이승만에 대한 인정과 부정의 변증: 1950년대 복합적 담론구조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ROK-U.S. Alliance and Syngman Rhee: Complex Dialectic Discourses of Recognition and Negation in the 1950s
발행기관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저자명
김명섭(Myongsob Kim)
간행물 정보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46집 제2호, 5~3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5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950년대를 중심으로 한미동맹과 이승만에 대한 인정과 부정의담론들이 어떤 복합성을 지니고 있었는 지를 분석하였다. 한미동맹이 탄생한1950년대에는 한미동맹을 인정하고, 이승만도 인정하는 인정하는 담론(본문도표 A사분면)이 주류를 형성했다. 그러나 A사분면 담론은 1960년 이승만 대통령 하야 이후 급격히 위축되었다. 이승만은 인정하면서 한미동맹은 부정하는B사분면에 속하는 유의미한 담론은 찾아볼 수 없었는데, 이것은 1950년대 이승만과 한미동맹이 그만큼 불가분의 관계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A사분면의 대척면에는 한미동맹을 부정하고, 이승만도 부정하는 담론(C사분면)이 1950년대부터 광범위하게 존재했다. 공산진영이나 유럽 좌파 진영에서뿐만 아니라 재미 지식인들의 담론 중에도 동맹과 공존할 수 없는 중립을 주장하면서 이승만도 부정하는 C사분면 담론이 존재했다. 그러나 대안 담론의 주류는 C사분면의 담론은 아니었고, 한미동맹은 인정하되 이승만은 부정하는 담론(D사분면)이었다. 다만 D사분면의 담론과 C사분면의 담론은 이승만에 대한 부정을 매개로 연결되기도 했다. 1950년대에 존재했던 한미동맹과 이승만에 대한 인정과 부정의 복합적 담론구조에 대한 성찰은 21세기 한미동맹과 이승만 재평가와 관련해서 보다 심층적인 학문적 토론을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omplex dialectic discourses of recognition and negation related to the ROK-US alliance and Syngman Rhee, the first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o played the signific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is alliance in 1953. The predominance of the discourse recognizing both the ROK- US Alliance and Syngman Rhee(the A quadrant in the map of this article) began to decline rapidly after 1960. Discourses negating both Syngman Rhee and the ROK-U.S. alliance (C quadrant) or recognizing the ROK-U.S. alliance but negating Syngman Rhee (D quadrant) replaced the initial discourse (A quadrant). Discourses of the C and D quadrants were easily associated because both of them negated Syngman Rhee. Neutralism related to Communist North Korea was an aspect that facilit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wo latter discourses(C and D quadrants). The neutralist stance was incompatible with the idea of an alliance but it segued more seamlessly to the D quadrant than other discourses in the C quadrant that bluntly opposed the ROK-US alliance.

목차

Ⅰ. 서 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섭(Myongsob Kim). (2025).한미동맹과 이승만에 대한 인정과 부정의 변증: 1950년대 복합적 담론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46 (2), 5-36

MLA

김명섭(Myongsob Kim). "한미동맹과 이승만에 대한 인정과 부정의 변증: 1950년대 복합적 담론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46.2(2025): 5-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