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현대 도자 예술 소재의 확장에 관한 연구 - 경덕진 국제도예비엔날레 공모전 작품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ansion of Chinese modern ceramic art materials : Focusing on examples of works from the Jingdezhen International Ceramic Biennale Competition
- 발행기관
- 한국도자학회
- 저자명
- 쟝치(QI Zhang) 임헌자(Hunja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도자학연구』Vol.21 No.3, 49~6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 현대 도자 예술의 혁신적인 성과와 발전 추세를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경덕진 국제도예비엔날레의 출품작을 중심으로 비엔날레의 대표적인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최근 중국 현대 도자 예술은 소재의 확장과 중국 현대 도자 예술의 혁신적인 성과를 위한 국제 교류 및 협력을 위한 대규모의 국제도자 공모전 및 전시회가 진행되고 있다. 2021년과 2023년 개최된 국제도예공모전에서 종합 재료 설치 예술, 도자 재료 회화 예술, 디지털 미디어와 도자 예술의 결합, 실험 도예를 포함한 여러 유형의 작품이 출품되어 중국 현대 도자 예술의 다양성과 혁신성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예술의 교류, 교육 및 문화유산을 장려하는 데 있어서 국제도자비엔날레의 역할이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글로벌 도자 문화에 대한 공헌과 도자예술 영역의 확장을 기대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innovative achievements and development trends of contemporary Chinese ceramic art, and th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biennial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entries of the Gyeongdeokjin International Ceramic Biennale.
Recently, large-scale international ceramic contests and exhibitions have been held for the expansion of materials and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innovative achievements of Chinese contemporary ceramic art. At the International Ceramic Competition held in 2021 and 2023, several types of works including comprehensive material installation art, ceramic material painting art, combination of digital media and ceramic art, and experimental ceramics were exhibited, indicating that the diversity and innovation of contemporary Chinese ceramic art were reflected. In addition, the role of the International Ceramic Biennale is influencing in promoting art exchange, education, and cultural heritage,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global ceramic culture and expand the scope of ceramic art.
목차
Ⅰ. 서론
Ⅱ. 중국 현대 도예의 소재에 대한 탐구 및 중국 현대 도예 전시
Ⅲ. 경덕진 국제도예비엔날레 공모전 작품의 소재 확장성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