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coustic cues for emotions in Korean vocal expressions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저자명
Eunhae Oh
간행물 정보
『언어연구』제41권 제3호, 611~63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acoustic expression of emotions—specifically happiness, sadness, anxiety, and anger—in speech, with a particular focuson gender-based differences in vocal expressions. Ten phonetic markers, including pitch,intensity, and voice quality,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rough various acousticparameters. Findings revealed that while both male and female speakers modifiedacoustic features to convey emotions, distinct gender patterns emerged. Female speakersexhibited stable pitch in sadness and heightened intensity variability when expressinganger, while male speaker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pitch variability in sadnessand irregularities in anger-related vocalizations. These patterns suggested that socialfactors may influence how emotions are expressed, with Korean societal norms possiblyaffecting the vocal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peakers. The results areinterpreted in light of how gender and societal norms may shape vocal expressions ofemotion.

영문 초록

목차

1. Introduction
2. Acoustic features in speech emotion
3.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Eunhae Oh. (2024).Acoustic cues for emotions in Korean vocal expressions. 언어연구, 41 (3), 611-633

MLA

Eunhae Oh. "Acoustic cues for emotions in Korean vocal expressions." 언어연구, 41.3(2024): 611-6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