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라돈 차단벽지의 효율성 평가
이용수 26
- 영문명
- Evaluation of Efficiency of Radon-Blocking Wallpaper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김차훈(Kim Chahun) 이진성(Lee Jinsung) 이동현(Lee DongHyun) 이기영(Lee Ki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50권 제6호, 401~40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 Managing indoor radon is important since it is a known carcinogen. Radon-blocking wallpaper
can be a control measure for obstructing the penetration of the gas. Such wallpaper can be implemented in
both new and existing buildings.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adon mitigation efficiency of radon blocking wallpaper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assess its long-term effectiveness.
Methods: Radon concentrations in closed chambers were measured before and one month after the
installation of radon-blocking wallpaper. Additionally, the impact of overlapping widths (single installation,
1, 5, and 10 cm) on blocking efficiency was tested in a closed chamber. In a simulated residential environment,
rad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efore, immediately upon, and six month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radon-blocking wallpaper.
Results: In the one-month experiment, radon concentration in the chamber with radon-blocking wallpaper
was found to be lower than in the chamber without it. Overlap tests revealed that overlapping widths did
not affect radon mitigation effectiveness. In the simulated residential environment, radon concentrations
showed a reduction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radon-blocking wallpaper. Six months after installation, the
monitoring confirmed that radon concentrations remained well below the indoor radon standard.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radon-blocking wallpaper was an effective solution for reducing
indoor radon concentrations. This study provided an important tool for radon management strategies in
residential settings.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II. 재료 및 방법
III. 결 과
IV. 고 찰
V. 결 론
감사의 글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인의 글] 유해화학물질 모니터링 체계 고도화를 위한 추정ㆍ비표적 분석기법의 도입
- 국제 플라스틱 협약 이후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사회를 위한 도전
-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한 시간활동양상별 대구광역시 초미세먼지(PM2.5) 흡입 노출 및 기여율 평가
-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대기오염 현황 및 관리 방안에 대한 고찰
- 화력발전소 주변지역에서 저주파소음의 공간분포 특성
-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라돈 차단벽지의 효율성 평가
- 코로나-19 발생 전후 대기오염물질 농도 및 대한민국 성인들의 소변 시료 중 환경유해인자 농도의 변화: 제4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18~2020)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50권 제5호 목차
- 부산 신평ㆍ장림 산업단지 지역 PM2.5 중 중금속 농도 분포 및 건강위해성평가
- 폐기물 소각장 주변 거주민의 인식도 조사
참고문헌
- Radiat Prot Dosimetry
- Biosci Med J Biomed Transl Res
- WHO
- IARC
- Environ Int
- IOP Conf Ser Earth Environ Sci
- HPA-CRCE-019
- J Radiol Prot
- Sci Total Environ
- Indoor Air
- J Odor Indoor Environ
- Results Eng
- J Odor Indoor Environ
- J Hazard Mater
- J Environ Radioact
- Atmosphere
- Constr Build Mater
- KR101933566B1
- Iran Red Crescent Med J
- Radiat Phys Chem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해양에서의 발생, 이동, 생물영향 및 관리대책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COVID-19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화력발전소 주변지역에서 저주파소음의 공간분포 특성
-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라돈 차단벽지의 효율성 평가
- 코로나-19 발생 전후 대기오염물질 농도 및 대한민국 성인들의 소변 시료 중 환경유해인자 농도의 변화: 제4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18~2020)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