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 플라스틱 협약 이후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사회를 위한 도전
이용수 24
- 영문명
- Challenges for a Sustainable Plastic World after INC-5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공지섭(Ji Seop Gong) 김지원(Ji Won Kim) 윤보미(Bomi Yoon) 강지은(Jieun Kang) 이지윤(Jiyoun Lee) 최윤형(Yoon-Hyeong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50권 제6호, 371~37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fifth International Negotiating Committee (INC-5) for the Global Plastics Treaty was held in Busan,
South Korea, from November 25 to December 1, 2024. The treaty is the largest in scale among global efforts
on environmental protection since the Paris Agreement in 2015, reflecting the rising global concerns about
plastic pollution and demands for eco-friendly alternatives. In response, we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plastic usage and its environmental impacts, discuss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eco-plastics,
and suggest a direction for sustainable plastic management. In 2019, global plastic waste was estimated
to reach 353 million tons, of which only 9% was recycled. Non-recycled plastics can cause a wide range of
environmental pollution. Biodegradable eco-plastics could provide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plastics, but
there are practical limitations to achieving a better environment due to technical and regulatory constraints.
Hence, international treaties such as INC should continue to seek global consensus for sustainable plastic
management, while governments, industries, and individuals need to offer their best efforts within their
respective capacities. For example, a goal of simplifying the plastic materials used in manufacturing products
and ensuring the proper use of the term ‘eco-friendly’ may be achiev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industry and along with additional efforts by individuals. First, government should establish
specific and practical policies and regulations; second, industry should produc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products; and third, individuals should try to reduce their use of disposable items and adopt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patterns. When these efforts come together,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plastic
consumption and improve recycling efficiency, ultimately leading to a ‘sustainable plastic worl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II. 플라스틱 개발의 역사
III. 플라스틱의 사용 및 폐기 현황
IV. 친환경 플라스틱
V. 지속가능한 플라스틱을 위한 대응
VI. 요약 및 결론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인의 글] 유해화학물질 모니터링 체계 고도화를 위한 추정ㆍ비표적 분석기법의 도입
- 국제 플라스틱 협약 이후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사회를 위한 도전
-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한 시간활동양상별 대구광역시 초미세먼지(PM2.5) 흡입 노출 및 기여율 평가
-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대기오염 현황 및 관리 방안에 대한 고찰
- 화력발전소 주변지역에서 저주파소음의 공간분포 특성
-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라돈 차단벽지의 효율성 평가
- 코로나-19 발생 전후 대기오염물질 농도 및 대한민국 성인들의 소변 시료 중 환경유해인자 농도의 변화: 제4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18~2020)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50권 제5호 목차
- 부산 신평ㆍ장림 산업단지 지역 PM2.5 중 중금속 농도 분포 및 건강위해성평가
- 폐기물 소각장 주변 거주민의 인식도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해양에서의 발생, 이동, 생물영향 및 관리대책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COVID-19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화력발전소 주변지역에서 저주파소음의 공간분포 특성
-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라돈 차단벽지의 효율성 평가
- 코로나-19 발생 전후 대기오염물질 농도 및 대한민국 성인들의 소변 시료 중 환경유해인자 농도의 변화: 제4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18~2020)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