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호작용공정성과 오센틱리더십이 정서적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고용형태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and Authentic Leadership on Affective Commitmen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mployment Type
- 발행기관
- K-콘텐츠학회(구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 저자명
- 김용석(Yongsuk Kim)
- 간행물 정보
- 『K콘텐츠연구』11권 2호, 47~6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의 행정직원들의 상호작용공정성 인식이 오센틱리더십을 매개로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고용형태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 충청지역 소재 4년제 대학 행정직원 534명의 데이터를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공정성은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고, 오센틱리더십은 상호작용공정성과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오센틱리더십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오센틱리더십을 경유하여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정규직에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반면, 비정규직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정규직에 비해 차별적 위치에 있고 불안한 고용안정성과 열악한 근로조건으로 인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비정규직의 정서적 조직몰입을 높이는 방편으로 오센틱 리더십을 가진 리더와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on affective commitment through authentic leadership differs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The study used data from 534 administrative staff members of a university in the Daejeon-Chungcheong area, analyzed with SPSS PC+ WIN Ver. 25.0 and the SPSS PROCESS macro 4.2.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actional just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and authentic leadership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affective commitment. However,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affective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interactional justice through authentic leadership were not significant for regular employees, but they were significant for non-regular employees.
The study suggests that, compared to regular employees, non-regular employees-who are expected to have lower affective commitment due to job insecurity and poor working conditions-can benefit from interactions with leaders who exhibit authentic leadership,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ir affective commit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ESG 경영이 외국인 지분율에 미치는 영향
-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효능감, 기업가적 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멘토링 만족도의 조절 효과와 예비 창업자의 혁신 행동 증진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