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브랜드 로고 유형이 원거리 브랜드 확장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해석수준과 지각된 브랜드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Effect of Brand Logo Type on Attitude toward Far Brand Extension : Mediating Role of Construal Level and Perceived Brand Breadth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김영주(Young-Ju Kim) 정언용(An-Yong Jung) 여준상(Jun-Sang Yeo)
- 간행물 정보
- 『물류학회지』제34권 제6호, 43~5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존 브랜드확장 연구의 대부분은 원거리 브랜드 확장의 부정적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브랜드 로고 유형 에 따라 원거리 확장에 대한 평가를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워드마크보다는 심벌마크에 노출되었을 때 원거리 확장제품일지라도 상대적으로 긍정 평가가 나올 것이라 예상하고 이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해 브랜드 로고 유 형이 원거리 브랜드 확장 제품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브랜드 로고 유형에 따라 해석수준과 지각된 브랜드 폭을 경유 하는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해석수준과 지각된 브랜드 폭의 이중 매개효과가 심적 형상화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실험 1의 결과, 맥도날드 심벌마크에 노출된 집단과 워드마크에 노출된 집단의 원거리 브랜드 확장 제품 태도의 차이는 유의하 게 나타났다. 또한 해석수준과 지각된 브랜드 폭을 경유하는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심벌마크에 노출된 개인은 워드마크에 노 출된 개인에 비해 해석수준과 지각된 브랜드 폭이 높아져 원거리 브랜드 확장 제품 태도가 높아졌다. 실험 2에서 자극물을 곰표 심벌마크와 워드마크를 이용하고, 심적 형상화의 조절 효과를 추가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험 1과 마찬가지로 브랜드 로고 유 형이 원거리 브랜드 확장 제품 태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해석수준과 지각된 브랜드 폭을 경유하는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심적 형상화의 조절된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심적 형상화가 높을수록 해석수준과 지각된 브랜드 폭을 경 유해 원거리 브랜드 확장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Mos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negative effects of far brand extensions. Howev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ositive responses to far extensions when using symbol (non-word) marks instead of word marks.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whether brand logo type influences attitudes toward far brand extensions and examined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of construal level and perceived brand breadth on this relationship, moderated by mental imagery.
As a result of Experiment 1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far brand extensions between groups exposed to McDonald's symbol and word marks. A sequential mediation effect was found: individuals exposed to the symbol mark exhibited higher levels of construal and perceived brand breadth, leading to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far extensions.
Experiment 2 employed Gompyo's symbol and word marks as stimuli and measured mental imagery as a moderator. The direct effect of brand logo type on attitudes toward far brand extensions and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through construal level and perceived brand breadth were confirmed. Additionally,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ental imagery was observed.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mental imagery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construal level and perceived brand breadth, which in turn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 far brand extens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험 1
Ⅳ. 실험 2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외 이커머스 플랫폼 기업의 국내 시장 확장에 따른 국내 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Impact of RCEP Tariff Reduction on Shandong Province's Export to ROK
- 택배산업의 경쟁요인과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순펑택배를 중심으로
- Optimizing Supply Chain Partnerships for Incheon-Based Suppliers : A Deep Neural Network Approach
- 브랜드 로고 유형이 원거리 브랜드 확장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해석수준과 지각된 브랜드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Trust, and Logistics Performance in Supply Chain Management
- A Panel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Economic Growth : A Focus on Logistics Performance
- 항만 재해자수를 고려한 우리나라 항만의 동태적 안전 효율성 분석
- 의약품 배송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의약품 콜드체인 개선점 제시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greement Tariff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Logistics Environment : Focusing on the Korea-China FTA and the Korea-Peru FTA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Journal of Korea Trade Vol.28 No.8 Contents
- The Time-Varying Effects of Geopolitical Risks on the Stock Dynamics of Asian Countries: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China, Japan and India
- Does South Korea’s ODA Enhance Economical and Human Development in CLMV? Comparing Panel Fixed Effect Regression and ARDL Mode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