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항만 재해자수를 고려한 우리나라 항만의 동태적 안전 효율성 분석

이용수 12

영문명
A Study on the Dynamic Safety Efficiency Analysis of the Ports in South Korea Considering Port Casualties
발행기관
한국물류학회
저자명
심민섭(Min-Seop Sim) 김율성(Yul-Seong Kim)
간행물 정보
『물류학회지』제34권 제6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항만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중대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항만 내 근로자 공백으로 인한 운영 차질 및 생산성 저하 등이 발생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대재해처벌법, 항만안전특별법 등 항만 운영 시 안전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법이 제 정 및 시행되고 있으며, 항만 안전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술적 측면에서 항만의 효율성을 결 정짓는 여러 가지 요인 중 항만 재해자수를 유해산출물로 고려하여 진행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9 년부터 2023년까지 우리나라 국가관리무역항을 대상으로 항만 재해자수를 고려한 동태적 안전 효율성을 SBM-Undesirable window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SBM-Undesirable window model CCR 분석결과, 군산·대산항은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변동성이 적 게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산항, 울산항, 여수·광양항은 변동성이 비교적 높지만,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SBM-Undesirable window model BCC 분석결과, 부산항, 마산항, 군산·대산항, 동해·묵호항의 경우 높은 수 준의 효율성을 변동성이 적게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울산항, 여수·광양항, 목포항은 변동성이 비교적 높지만,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동태적 안전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인천항, 포항항, 평택·당진항 의 투입변수, 산출변수, 유해산출변수 등을 조정하여 지속가능한 운영 전략을 수립하였다.

영문 초록

Accidents at ports often lead to major accidents, disruption of operations and loss of productivity due to vacancies of workers at ports. In South Korea, laws requiring special attention to safety in port operations, such as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and the Special Port Safety Act, have been enacted and implemented, and social demands for port safety are increasing. Nevertheless, in terms of academic research, there is a lack of studies that consider the number of port disasters as a hazardous output among the various factors that determine the efficiency of por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safety efficiency of South Korean state-managed trade ports from 2019 to 2023 considering the number of port casualties using the SBM-Undesirable window model. The results of the CCR analysis of the SBM-Undesirable window model show that Gunsan and Daesan ports maintain a high level of efficiency with low volatility, while Busan, Ulsan, and Yeosu-Gwangyang ports show a high level of efficiency with relatively high volatility. The results of the SBM-Undesirable window model BCC analysis showed that Busan Port, Masan Port, Gunsan-Daesan Port, Donghae-Mukho Port, and Donghae-Mukho Port maintained high levels of efficiency with low volatility, while Ulsan Port, Yeosu-Gwangyang Port, and Mokpo Port showed high levels of efficiency with relatively high volatility. Subsequently, the ports of Incheon, Pohang, and Pyeongtaek-Dangjin, where the dynamic safety efficiency of the ports was relatively low, adjusted the input variables, output variables, and hazardous output variables to establish a sustainable operation strategy.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민섭(Min-Seop Sim),김율성(Yul-Seong Kim). (2024).항만 재해자수를 고려한 우리나라 항만의 동태적 안전 효율성 분석. 물류학회지, 34 (6), 1-19

MLA

심민섭(Min-Seop Sim),김율성(Yul-Seong Kim). "항만 재해자수를 고려한 우리나라 항만의 동태적 안전 효율성 분석." 물류학회지, 34.6(2024):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