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교사 협력 모델을 통한 교육적 관계 분석 : 가상 시나리오 기반 연구
이용수 17
- 영문명
- Analyzing Educational Relationships Using AI-Teacher Collaboration Model : A Virtual Scenario-Based Study
- 발행기관
- 한국산업기술융합학회(구.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 저자명
- 홍지웅(Ji-Woong Hong) 황수정(Su-Jeong Hwang)
- 간행물 정보
- 『산업기술연구논문지』제29권 4호, 113~12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공학 > 산업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인공지능(AI) 기술의 도입이 교사-학생 관계와 교육적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AI-교사 협력 모델을 제안하였다. Buber의 'I-Thou'와 'I-It' 관계 이론을 통해 인간적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Dewey의 경험적 교육론을 바탕으로 AI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의 질적 향상을 논의하였다. AI는 학습 데이터의 실시간 분석과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며, 교사는 이를 기반으로 정서적 스캐폴딩과 심화 학습을 지원하여 학습 동기와 참여를 촉진한다. 본 연구는 AI와 교사의 상호보완적 협력이 학생의 자기주 도적 학습과 교육적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가상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I-교사 협력 체계가 미래 교육 패러다임 전환의 핵심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introduc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o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educational human relationships and proposes an AI-teacher collaboration model to support the holistic development of learners. The importance of human interaction is explained based on Buber’s theory of the “I-Thou” and “I-It” relationships, and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teractions in an AI-based learning environment is discussed based on Dewey’s empirical educational theory. AI provides real-time analysis of learning data and customizes feedback, thus facilitating teachers in supporting emotional scaffolding and comprehensive learning to promote learning motivation and engagement. Through a virtual-scenario analysi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the AI-teacher collaboration can maximiz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nd educ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AI-teacher collaboration is key to the future paradigm shift in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가상 시나리오 분석
Ⅴ.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업기술연구논문지 제29권 4호 목차
- 2-Arylbenzimidazole 유사체들의 HIF-2α 저해 활성
- VR 360 영상을 활용한 예술교육 효과성에 대한 연구 - 전통 가면무 교육영상을 중심으로
- 노인의 여가만족과 사회적 건강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이 C2C12 세포의 mTOR 매개 근육 분화에 미치는 영향
- 패치 구조를 이용한 D-Band(140 GHz - 160 GHz) 대역 도파관-마이크로스트립 변환기의 광대역 설계
- 웨어러블 신축성 전자소자의 접착력 강화를 위한 경화 방해물질 확산 기법 연구
- 앙트러프러너십, 직업미래시간관, 조직변화지지행동의 구조적 관계
- 압력 조건 변화에 따른 수소 압력 용기의 균열 거동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
- AI-교사 협력 모델을 통한 교육적 관계 분석 : 가상 시나리오 기반 연구
- 에너지 절감을 위한 소형 선박용 전기 추진체인 고효율·고토크용 다상 BLDC 모터 설계에 관한 연구
- 감마방사선 조사 후 버섯류 - 마늘 혼합 추출물이 염증 반응 및면역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주성분 분석 기반 법선 벡터 추정을 통한 드론 착륙 지점 탐지 기법 연구
- 메탄-산소 연소에서 침입공기의 위치 및 유량이 NO x 배출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3D 형상의 자동차 도어트림(Door Trim)을 인식 재봉하는 로봇 설계
- 드론 영상 활용 딥러닝 기반 피플 카운팅 알고리즘 개발
- Aryl-2-Thioxo-4-Thiazolidinone 화합물의 HIF-2α 저해 활성
- 영상 기반 드론 및 UAM 비상 착륙 알고리즘 개발
- 물류기업 ESG 공시가 기업의 재무성과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산업공학분야 NEW
- 산업기술연구논문지 제29권 4호 목차
- 2-Arylbenzimidazole 유사체들의 HIF-2α 저해 활성
- VR 360 영상을 활용한 예술교육 효과성에 대한 연구 - 전통 가면무 교육영상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