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여가만족과 사회적 건강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
- 영문명
- Impact of Leisure Satisfaction and Social Health on Self-Rated Health Among Older Adults
- 발행기관
- 한국산업기술융합학회(구.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 저자명
- 김윤영(Yunyoung Kim) 임은진(Eun-Jin Lim) 심가가(Ka-Ka Shim)
- 간행물 정보
- 『산업기술연구논문지』제29권 4호, 17~2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산업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노인은 여가 활동을 통해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얻는다. 이러한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노인의 사회적 건강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 및 우울증 위험을 줄인다. 따라서, 노인의 여가만족과 사회적 건강이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반영하는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영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 두 요소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여가 프로그램 개발 및 사회적 지원망 확대, 건강 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24년 6월부터 7월까지 G도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14명을 대상으로 여가만족, 사회적 건강, 주관적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8.0을 이용해 다중 회귀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여가만족은 사회적 건강(r=0.456, p<.001) 및 주관적 건강상태(r=0.353, p<.001)와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사회적 건강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와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0.387, p<.001) 여가만족과 사회적 건강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설명력은 18.2%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관련 요인의 지속적인 탐색과 여가만족과 사회적 건강을 고려한 주관적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the relationships among leisure satisfaction, soci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in older adults. It investigated how social interactions through leisure activities contribute to emotional stability, stress reduction, decreased depression, and overall well-being. Data were collected in June and July 2024 from 214 seniors aged 60 and older and residing in G C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social health (r=0.463, p<.001), leisure satisfaction and self-rated health (r=0.355, p<.001), and social health and self-rated health (r=0.390, p<.001).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leisure satisfaction and social health significantly influence self-rated health among older adults.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developing programs that focuson improving the social health of older adults to enhance their perceived overall healt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업기술연구논문지 제29권 4호 목차
- 2-Arylbenzimidazole 유사체들의 HIF-2α 저해 활성
- VR 360 영상을 활용한 예술교육 효과성에 대한 연구 - 전통 가면무 교육영상을 중심으로
- 노인의 여가만족과 사회적 건강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이 C2C12 세포의 mTOR 매개 근육 분화에 미치는 영향
- 패치 구조를 이용한 D-Band(140 GHz - 160 GHz) 대역 도파관-마이크로스트립 변환기의 광대역 설계
- 웨어러블 신축성 전자소자의 접착력 강화를 위한 경화 방해물질 확산 기법 연구
- 앙트러프러너십, 직업미래시간관, 조직변화지지행동의 구조적 관계
- 압력 조건 변화에 따른 수소 압력 용기의 균열 거동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
- AI-교사 협력 모델을 통한 교육적 관계 분석 : 가상 시나리오 기반 연구
- 에너지 절감을 위한 소형 선박용 전기 추진체인 고효율·고토크용 다상 BLDC 모터 설계에 관한 연구
- 감마방사선 조사 후 버섯류 - 마늘 혼합 추출물이 염증 반응 및면역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주성분 분석 기반 법선 벡터 추정을 통한 드론 착륙 지점 탐지 기법 연구
- 메탄-산소 연소에서 침입공기의 위치 및 유량이 NO x 배출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3D 형상의 자동차 도어트림(Door Trim)을 인식 재봉하는 로봇 설계
- 드론 영상 활용 딥러닝 기반 피플 카운팅 알고리즘 개발
- Aryl-2-Thioxo-4-Thiazolidinone 화합물의 HIF-2α 저해 활성
- 영상 기반 드론 및 UAM 비상 착륙 알고리즘 개발
- 물류기업 ESG 공시가 기업의 재무성과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산업공학분야 NEW
- 산업기술연구논문지 제29권 4호 목차
- 2-Arylbenzimidazole 유사체들의 HIF-2α 저해 활성
- VR 360 영상을 활용한 예술교육 효과성에 대한 연구 - 전통 가면무 교육영상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