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무왕대 익산의 제석사 건립

이용수 36

영문명
The Construction of Jeseoksa Temple in Iksan during the Reign of Baekje's King Mu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수태(Soo Tae Kim)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44집, 132~168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무왕대 익산에 건립된 제석사의 창건과 중건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왕궁리 유적과 제 석사와 미륵사가 어떠한 순서로 만들어졌는가에 대해서 왕궁리 유적이 만들어지기 시작하면서 제석 사가 건립되었으며, 이어서 미륵사가 창건되었던 것으로 이해하였다. 특히 무왕의 익산 천도와 제석사 의 건립이 서로 맞물린다고 보았다. 이때 사비에서 익산으로의 천도를 주도한 정치세력은 무왕과, 모 후의 출신 지역인 익산의 정치세력이었다. 이에 익산에 천도를 위한 왕궁의 건립이 시작되면서, 얼마 있지 않아서 제석사가 건립되었다. 그 시기는 대체로 620년대 초반의 일이었다. 이와 같이 익산으로의 천도를 추진한 무왕은 더욱 왕권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제석사에 불사리를 모셨다는 사실이 이를 잘 말하여주고 있다. 익산의 제석사는 639년 11월에 소실되고서 중건되었다. 제석사의 소실 배경에는 무왕과 익산세력 이 주도했던 미륵사의 창건이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익산세력이 미륵사를 통해서 더욱 세력을 떨치려 고 하자, 사비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정치세력은 이러한 변화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 그동안 익산세력 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던 무왕의 태도 변화도 크게 작용하였다. 무왕은 익산 세력이 자신의 왕권 강화 에 걸림돌이 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에 무왕은 익산세력이 아니라 사비세력을 통해서 왕권을 강화 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무왕이 익산으로의 천도를 포기하고 수도인 사비 지역을 다시 중시한 모습에서 살펴볼 수가 있다. 그 결과 익산세력은 무왕과 사비 세력에 대해서 크게 반발하였다. 바로 제석사의 소실이 상징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그러나 익산세력의 움직임은 새로운 정치적 변화를 일으키지 못하였다. 무왕과 사비세 력은 소실된 제석사의 중건을 곧바로 추진하였다는 점에서도 알 수가 있다. 이는 더 이상 익산세력이 당시의 정치를 주도할 수 없음을 알려주는 것이었다. 따라서 익산지역에서 추진된 왕궁리 유적의 조성 이나, 제석사의 창건과 중건이나, 미륵사의 창건에는 당시 무왕을 둘러싼 정치세력의 향배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말할 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establishment and reconstruction of Jeseoksa Temple in Iksan during the reign of King Mu of Baekje. Regarding the sequence of construction among the Wanggung-ri site, Jeseoksa Temple, and Mireuksa Temple, it is understood that Jeseoksa was built following the initiation of the Wanggung-ri site, and subsequently, Mireuksa was established. Notably, it is suggested that King Mu’s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Iksan and the construction of Jeseoksa were closely intertwined. The political forces leading this relocation from Sabi to Iksan were King Mu and the political elites from Iksan, the region of his mother’s origin. As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palace in Iksan commenced, Jeseoksa Temple was built shortly afterward, around the early 620s. This effort reflects King Mu’s ambition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as evidenced by the enshrinement of Buddha relics in Jeseoksa Temple. Jeseoksa Temple in Iksan was destroyed in November 639 and later rebuilt. The background to its destruc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reation of Mireuksa Temple, which was spearheaded by King Mu and the Iksan faction. As the Iksan group sought to expand their power through Mireuksa, the political forces based in Sabi resisted these changes. Additionally, King Mu’s shifting stance, distancing himself from the Iksan faction, played a crucial role. King Mu likely perceived the Iksan faction as an obstacle to consolidating his royal authority. Consequently, he sought to strengthen his power through the Sabi faction rather than relying on the Iksan group. This change is evident in his abandonment of plans to relocate the capital to Iksan and his renewed emphasis on Sabi as the central political base. In response, the Iksan faction strongly opposed King Mu and the Sabi faction, as symbolized by the destruction of Jeseoksa Temple. However, the Iksan group’s efforts failed to bring about significant political changes. This is further demonstrated by the swift reconstruction of Jeseoksa Temple, led by King Mu and the Sabi faction. This reconstruction underscored that the Iksan faction no longer held a dominant role in the political landscape of the tim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reation of the Wanggung-ri site, the establishment and reconstruction of Jeseoksa Temple, and the construction of Mireuksa Temple were all decisively influenced by the political dynamics surrounding King Mu.

목차

Ⅰ. 머리말
Ⅱ. 몇 가지 기초적 검토
Ⅲ. 제석사의 창건 과정
Ⅳ. 제석사의 중건 배경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태(Soo Tae Kim). (2024).백제 무왕대 익산의 제석사 건립. 마한백제문화, (), 132-168

MLA

김수태(Soo Tae Kim). "백제 무왕대 익산의 제석사 건립." 마한백제문화, (2024): 132-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